문재인 대통령은 1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등과 전화통화를 하고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성공을 위한 긴밀한 공조를 다져 나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35분간 통화를 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북한이 적극 행동에 나설 수 있도록 단계마다 협력할 것을 당부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남북 정상회담과 5월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 등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조성된 한반도 정세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양국 정상 간 통화는 지난 5일 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 대표단이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난 뒤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중·러·일 방문 결과를 설명하고 “이들 국가도 북·미 간 정상회담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전 한·미 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미국 일각에서 북·미 정상회담 연기설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5월 안에 정상회담에 참석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이날 오후 4시30분부터 45분간 아베 총리와 통화하고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미·일 세 나라가 공조 체제를 유지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한·일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북한의 말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한·미·일 세 나라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양국 정상 간 통화는 서 원장이 지난 13일 아베 총리를 만나 방북·방미 결과를 공유한 지 3일 만에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가 남북 정상회담만으로는 가능하지 않다”며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일본과의 관계도 개선해야 남북 관계가 진전된다”고 말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 총리의 ‘평양선언’을 언급하며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일 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평양선언은 고이즈미 총리가 2002년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조인한 선언으로, 양국의 국교 정상화 실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두 정상은 또 남북 관계가 진전됨에 따라 일본인 납치자 문제를 포함한 북·일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두 나라가 협력하기로 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날 “양국 정상이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최대한의 압력을 계속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보도했다.

한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의회를 방문해 폴 라이언 하원의장과 코리 가드너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소위원장,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 등 외교통 의원을 잇달아 만났다. 강 장관은 미 의회 인사들과 우리 대북 특사단의 방북·방미 결과 등 한반도 상황 변화에 대한 평가를 공유했다. 강 장관은 미국의 한국산 철강·알루미늄 고율관세 부과 결정에 대해 “한·미 동맹 관계 전반에 부정적 여파를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이 제외되도록 미 의회가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강 장관은 의회 방문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장녀 이방카 백악관 보좌관을 만나 오찬을 함께했다.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한 대화가 오갔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채연/조미현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