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파격적 급진전…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 경제의 대외신인도에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했던 남북관계가 파격적으로 급진전하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될지 주목된다.
6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우리나라 대외신인도의 척도인 신용등급을 결정할 때 가장 첫 요인으로 북한과 군사적 충돌 또는 북한 정권의 붕괴 가능성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는다.
이런 가운데 남북이 다음 달 말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하고 북측이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한데다가 북미대화 용의를 표명하는 등 남북관계가 파격적으로 급진전함에 따라 한국의 대외신인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한국기업들의 주가,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남북이 대화국면으로 전환하면, 국가신인도 향상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신용평가사들은 항상 한국 국가신용등급 추가 상향조정에 근본적 제약요인으로 북한 문제를 꼽아왔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기준 세 번째로 높은 'Aa2'등급,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기준 세 번째로 높은 'AA'등급, 피치 기준 네 번째로 높은 'AA-'등급이다.
우리나라보다 높은 최고 내지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을 받은 국가는 미국, 독일,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 홍콩 등이 있다.
무디스는 앞서 지난해 10월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Aa2,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해소되면 한국의 신용등급이 상승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피치도 지난해 10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이 등급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S&P 본사를 방문해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견조하며 대북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S&P가 앞서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한 바 있어 우리의 대외신인도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하지만 남북관계 급진전에도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재개되기까지는 먼저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일단 5·24조치 및 유엔 대북제재 결의 등으로 북한과 금융거래는 금지된 상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중단됐던 남북경협이 재개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면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미국에 어필을 하고 북미 대화까지 이어진다면 추가적 경협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떨어지면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고 코리안 리스크도 없어질 수 있어 경제에는 전반적 호재"라면서 "주식시장도 경협 관련 주식 등 테마주가 반응해 상승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남북이 다음 달 말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하고 북측이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한데다가 북미대화 용의를 표명하는 등 남북관계가 파격적으로 급진전함에 따라 한국의 대외신인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한국기업들의 주가,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남북이 대화국면으로 전환하면, 국가신인도 향상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신용평가사들은 항상 한국 국가신용등급 추가 상향조정에 근본적 제약요인으로 북한 문제를 꼽아왔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기준 세 번째로 높은 'Aa2'등급,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기준 세 번째로 높은 'AA'등급, 피치 기준 네 번째로 높은 'AA-'등급이다.
우리나라보다 높은 최고 내지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을 받은 국가는 미국, 독일,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 홍콩 등이 있다.
무디스는 앞서 지난해 10월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Aa2,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해소되면 한국의 신용등급이 상승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피치도 지난해 10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이 등급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S&P 본사를 방문해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견조하며 대북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S&P가 앞서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한 바 있어 우리의 대외신인도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하지만 남북관계 급진전에도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재개되기까지는 먼저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일단 5·24조치 및 유엔 대북제재 결의 등으로 북한과 금융거래는 금지된 상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중단됐던 남북경협이 재개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면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미국에 어필을 하고 북미 대화까지 이어진다면 추가적 경협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떨어지면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고 코리안 리스크도 없어질 수 있어 경제에는 전반적 호재"라면서 "주식시장도 경협 관련 주식 등 테마주가 반응해 상승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