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부모님의 건강 챙겨드리는 '꿀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족 구성원 모두가 고통 받는 치매, ‘치매조기검진’ 지원으로 예방
고비용의 틀니, 임플란트 시술… 건강보험 지원으로 부담 없이 시술 가능
흡연 및 당뇨 등 만성질환 앓는 부모님이라면 폐렴구균 백신 등 예방접종 필요
고비용의 틀니, 임플란트 시술… 건강보험 지원으로 부담 없이 시술 가능
흡연 및 당뇨 등 만성질환 앓는 부모님이라면 폐렴구균 백신 등 예방접종 필요

만 60세 이상은 보건소에서 무료 치매조기검진
ADVERTISEMENT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이어 만 60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치매조기검진’을 지원하고 있다. 치매조기검진은 치매의 위험이 높은 만 60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보건기관(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을 통해 1차적으로 선별검사(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를 한다.
고위험군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2차로 지정병원에서 치매 진단검사 및 감별검사를 받게 된다. 치매로 확진 된 경우엔 환자로 등록해 대상자 별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국 가구 평균소득의 120% 이하인 경우 월 3만원 이내에서 치매치료비를 지원한다.
ADVERTISEMENT
고령층에서 겪게 되는 치아상실 등에 대한 치과 치료 비용에 대해서도 지원범위가 확대됐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노인 틀니와 임플란트에 대해 본인 부담률을 낮추는 의료급여법 시행령 및 관련 고시 일부를 개정했다.
개정된 내용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은 틀니 시술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함으로써 환자 본인이 틀니 시술비용의 30%만 부담하면 된다. 기존 50% 부담에 비해 20% 더 완화된 것이다.
ADVERTISEMENT

나이가 들수록 특히 주의해야 하는 감염병으로는 폐렴이 대표적이다. 폐렴은 국내 입원 원인
2위(2016년 기준)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6년 기준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의 10명 중 9.8명이 50세 이상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50세 이상이 아니더라도 흡연 이력이 있거나 당뇨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폐렴구균 감염 위험이 높아 예방접종을 통해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ADVERTISEMENT
대한감염학회는 2014년 성인예방접종 권고안을 통해 65세 이상 성인, 18세 이상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에게 폐렴구균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기존에 폐렴구균백신 접종 이력이 없는 18세 이상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에게는 13가 단백접합백신의 우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