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 우즈가 파머스인슈어런스오픈에서 4라운드 내내 오버파를 치지 않은 일등공신은 퍼팅이다. 공이 홀 주변을 조금씩 맴돌아 아쉬움을 남기긴 했지만 전성기의 ‘내비게이션 퍼팅’과 크게 다르지 않은 거리감과 정교함을 드러냈다. 이번 대회에서 우즈가 퍼팅으로 타수를 줄인 기여도는 2.741개로 출전자 중 16위다. 드라이버, 아이언, 그린 주변 쇼트게임 등 다른 항목의 기여도는 모두 30위권 밖이다. 갤러리의 고함으로 버디 퍼트를 어이없이 날린 13번홀(파5)과 다 들어갔던 공을 토해낸 17번홀(파4)을 감안하면 더 좋은 퍼팅 지수가 나올 수도 있었다.
퍼터와 그립, 스트로크 방식, 셋업 등을 수시로 바꾸는 선수들과 달리 우즈는 퍼팅에 관한 한 큰 변화를 주지 않았다. 이번 대회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타이거 퍼팅’의 특징은 정지 동작을 방불케 하는 ‘돌부처 셋업’이었다. 양 어깨와 손뭉치가 이룬 역삼각형만 스트로크 시 살짝 움직일 뿐 나머지 하체, 상체는 미세한 흔들림도 찾기 힘들 정도로 탄탄했다. 장활영 SBS 해설위원은 “긴 공백 이후에도 변하지 않은 게 퍼팅 실력인 것 같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우즈의 퍼팅 모습을 뒤에서 지켜보면 얼마나 움직임을 절제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짧은 퍼팅을 할 때 공이 왼쪽으로 굴러가는 것만 보일 뿐 스트로크를 했는지 안 했는지 알기 힘들 정도로 움직임이 거의 없다. 스트로크가 끝날 때까지 머리를 움직이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대회 직전 연습 그린에서 그가 즐겨하는 ‘게이트 드릴(gate drill·사진)’을 할 때도 손만 살아있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게이트 드릴은 그린 위에 티 2개를 퍼터 헤드 길이 간격으로 꽂아놓고 퍼터 헤드를 그 사이로 왔다갔다 하며 스트로크 연습을 하는 것이다. 일관된 리듬과 템포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임팩트 시 퍼터 페이스를 홀과 직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퍼팅 여제’ 박인비(30)도 가장 먼저 튼튼한 셋업을 강조한다. “기초공사인 셋업이 부실하면 스트로크 기술은 의미가 없다. 퍼팅에 문제가 있을 때 가장 먼저 체크해봐야 하는 것도 셋업”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은 삼성생명과 스포츠 활동 활성화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날 서울 서초동 삼성생명 본사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는 박용철 체육공단 전무이사와 이팔훈 삼성생명 디지털혁신실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신체활동 증진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양사의 역량을 모을 것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으로 체육공단의 스포츠 활동 인센티브 ‘튼튼머니’ 사업의 건강 포인트를 삼성생명의 ‘더 헬스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계 서비스 시행, 스포츠 특화 보험상품 개발 등 체력, 건강 증진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을 이어가게 됐다. 아울러 삼성생명 임직원에게 ‘국민체력100’ 체력 측정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제공하고, 향후 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건강 운동 콘텐츠 및 온라인 체력 측정 제공 등 서비스 분야를 확대할 예정이다. 체육공단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국민 건강을 위해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는 우수 사례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민간 협업을 통해 건강한 대한민국 만들기 앞장서겠다”고 했다. 서재원 기자 jwseo@hankyung.com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최다승(20승) 기록을 자랑하는 신지애(37)가 KLPGA투어 60경기 연속 커트 통과라는 이정표를 세웠다.신지애는 4일 부산 동래 베네스트GC(파72)에서 열린 KLPGA투어 두산건설 위브 챔피언십 2라운드에서 1언더파 71타를 쳤다. 전날 슬로플레이로 1벌타를 받는 등 고전하며 공동 63위까지 밀렸던 신지애는 합계 1오버파 145타로 40위 이내에 진입해 커트 기준 타수를 여유 있게 넘겼다. 신지애는 2006년 KLPGA투어 데뷔 이후 출전한 60개 대회에서 한 번도 커트 탈락하지 않는 진기록을 세웠다. KLPGA투어 최다 연속 경기 커트 통과 기록은 서희경이 보유한 65경기다. 2라운드를 마친 신지애는 “연속 커트 통과 기록은 의식하지는 않았다”며 “신경 쓰기보다는 내 플레이만 하면 기록은 따라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 대회에 앞서 두산건설과 후원 계약을 하고, 이번 대회 우승 의욕까지 내비쳤던 신지애는 “기대했는데 아쉬움이 조금 있다”며 “연습 라운드와 컨디션이 조금 달라져서 적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선두와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지 않고, 코스가 어렵기 때문에 언제든 뒤집을 기회가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부산=서재원 기자 jwseo@hankyung.com
"골프백도 골퍼들에겐 중요한 장비입니다. 플레이에만 집중할 수 있게, 다른 외적인 요소가 거슬리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최고의 골프백이죠."골프클럽을 담고 이동하는 골프백,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골프백을 '악세사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자골프 전 세계랭킹 1위 유소연은 "백 자체가 중요한 장비"라고 강조했다. 그 안에도 수많은 기술이 녹아있고, 골프백의 퀄리티에 따라 선수들의 경기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이틀리스트가 프리미엄 이상의 퀄리티, 즉 '하이퍼 프리미엄'을 표방한 기어라인 '링스레전드 인피니티 시리즈'의 대표상품으로 골프백을 내놓은 것도 그래서다. 타이틀리스트 측은 링스레전드 인피티니의 스탠드백에 '하이퍼 프리미엄 골퍼'로 규정한 한국 골퍼 9023명을 조사해 그들의 니즈를 최대한 담았다. 8.7인치 5분할 탑커프를 적용했고, 다리는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포지드 카본으로 제작했다. 또 160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메탈 스트랩 버클 등 고성능 경량 소재를 채택해 안정성 내구성 경량성 수납성 수납편의성 사용편의성 등을 모두 잡았다. 역대급 기능을 담은 하이퍼 프리미엄 골프백을 가장 똑똑하게 사용하는 법은 무엇일까? 유소연 최근 링스레전드 인피니티 쇼케이스에서 소개한 골프백 사용법은 열정적인 골퍼들에게 좋은 팁이 될 듯 하다. 유소연은 "골프백의 핵심 퍼포먼스는 '수납 효율성'"이라고 강조했다. "저는 평소에도 수납, 정리, 정돈을 굉장히 중요시해요. 그래서 골프백도 클럽을 넣고 빼기 쉽게 되어있어야 하고, 소지품들이 제 위치에 잘 정리되어 있어야 하죠.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