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조선해양의 청산 또는 존속 결정이 내년 6월 지방선거 이후로 연기될 전망이다. 정부가 현재 진행 중인 채권단의 재무 실사와 별개로 산업 경쟁력에 대한 추가 컨설팅을 받은 뒤 구조조정 방향을 정하기로 해서다.

7일 채권단에 따르면 정부는 성동조선 구조조정 처리 방안을 내년 이후 다시 논의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채권단 관계자는 “정부가 조만간 성동조선에 대한 산업 경쟁력 진단을 골자로 외부 컨설팅을 받기로 했다”며 “기존 채권단의 실사 보고서와 외부 컨설팅 결과를 함께 받아보고 청산 또는 존속 향방을 결정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와 수출입은행이 주도해 향후 컨설팅 일정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 초 산업 측면에서의 컨설팅 결과가 나온 뒤 기존 재무적 실사 결과를 포괄적으로 살피는 데 들어가는 시간 등을 감안하면 성동조선에 대한 결정은 내년 6월 이후에나 나올 전망이다.

성동조선 구조조정 처리 방안은 지난달 결정하는 것으로 예정돼 있었다. 성동조선의 주채권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성동조선의 청산가치가 7000억원, 존속가치는 2000억원이라는 정밀실사 결과를 내놨다. 성동조선을 지금 당장 청산하는 게 채권은행에 유리하다는 의미다.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중소 조선사 구조조정에 대한 방향을 정하지 못하면서 결정이 지연됐다.

정부가 성동조선에 대한 결정을 미룬 것은 지난해 한진해운 청산 과정에서 겪은 논란을 반복해선 안 된다는 내부 의견이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당시 금융당국은 ‘산업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금융 논리로만 결정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일각에선 내년 6월 지방선거 영향으로 일정을 미룬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정지은/김일규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