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 인하의 역설…'시장 약자' 알뜰폰부터 무너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사 위기에 몰린 알뜰폰
40여개사 경쟁도 힘겨운데 '정책 리스크' 직격탄
통신 3사와 요금차이 별로 안나 가입자 이탈
선두업체들도 적자…중견업체는 연내 도산설
2018년 '보편요금제' 도입 땐 경영난 심화 우려
40여개사 경쟁도 힘겨운데 '정책 리스크' 직격탄
통신 3사와 요금차이 별로 안나 가입자 이탈
선두업체들도 적자…중견업체는 연내 도산설
2018년 '보편요금제' 도입 땐 경영난 심화 우려

국내 알뜰폰업계가 가입자 감소, 수익성 악화, 정책 불확실성 등 ‘3중고(三重苦)’에 허덕이고 있다. 통신 3사의 시장 과점 구도를 깨고 경쟁을 활성화하겠다는 게 알뜰폰 도입 취지였지만, 영세 업체들의 난립과 정책 지원 부족 등으로 제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ADVERTISEMENT

국내 알뜰폰 사업자는 40여 개에 이른다. 이 중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알뜰폰협회)에 속한 20개 회원사가 전체 알뜰폰 사업 매출(작년 8380억원)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지난 9월 기준 알뜰폰 가입자 수는 739만 명으로, 국내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11.7%를 점하고 있다.
ADVERTISEMENT
흑자 규모를 키우려면 가입자 한 명이라도 더 유치해야 하지만 알뜰폰 가입자 수는 올해 3월 700만 명을 돌파한 뒤 증가세(9월 736만 명)가 정체돼 있다. 알뜰폰협회 관계자는 “알뜰폰 주력 상품인 선불요금제와 2G(2세대) 3G(3세대) 요금제 가입자는 이미 정점에 올랐다고 봐야 한다”며 “LTE(4세대 이동통신) 요금제 가입자를 유치해야 하는데 통신 3사에 지급해야 하는 망 사용대가가 너무 높아 대부분 사업자가 LTE 요금제 출시를 꺼리고 있다”고 말했다.
◆“보편요금제는 핵폭탄”
ADVERTISEMENT
알뜰폰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알뜰폰 사업자의 가입자당 월평균 매출(ARPU)은 1만6000원(후불요금제 기준)이다. 대부분의 알뜰폰 가입자가 선택한 요금제가 1만5000~2만원 선이라는 얘기다. 이들 상당수는 저소득층이지만 홈플러스처럼 알뜰폰 사업을 접는 업체가 늘어나면 저소득층의 선택폭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선택약정 할인율 상향 등으로 통신 3사 요금이 내려갔지만 1만~3만원대 요금 상품에서는 여전히 알뜰폰의 요금이 저렴하다. 정부의 인위적 시장 개입이 소비자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보편요금제로 위기감 고조
ADVERTISEMENT
알뜰폰 사업자는 통신 3사의 통신망을 빌려쓰는 대가로 가입자로부터 받는 요금 수익의 40~55%(LTE 요금제 기준)를 망 임대 계약을 맺은 통신사에 지급한다. 정부는 1년에 한 번 알뜰폰 사업자들의 위임을 받아 망 도매제공 의무사업자인 SK텔레콤과 협상을 벌여 망 임대료(망 도매대가) 수준을 조정한다.
하지만 정부는 협상권만 있을 뿐 가이드라인 제시 등 조정 권한은 없다. 민간 기업 간 사적계약 영역에 관여할 수 없다는 게 정부가 내세우는 논리다. 통신비 인하 중장기 정책을 논의하는 통신비 정책협의회(사회적 논의기구)에선 알뜰폰 지원 정책이 완전자급제, 보편요금제에 밀려 있다.
알뜰폰협회 관계자는 “알뜰폰업계가 생존하기 위해선 보편요금제 도입을 1~2년 유예하고 정부가 자체 분석을 통해 망 도매대가 수준을 결정하는 조정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