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판교 자율주행모터쇼', 1만2000명 관람객 기록하고 폐막
지난 17일 판교제로시티에서 열린 '자율주행차와 인간의 미션 대결' 모습. 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자율주행차와 인간의 미션대결 등으로 관심을 모으며 세계 처음으로 열린 '2017 판교자율주행모터쇼’ (Pangyo Autonomous Motor Show : PAMS 2017)가 1만2000여명의 관람객을 기록하고 18일 폐막했다고 19일 발표했다.

기도와 서울대학교 공동 주최해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성남 판교제로시티에서 열린 모터쇼에는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미래 혁신기술에 대한 대학생을 비롯한 젊은 층의 참여가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틀째인 17일에는 아이들과 함께 한 가족 단위의 관람객들도 늘어나 체험교육의 장으로서 역할도 톡톡히 했다.

모터쇼는 일반인들이 직접 참여하는 체험형, 참여형 행사가 많아 호응을 얻었다. 모터쇼 기간 중 매일 2시간씩 진행된 자율주행차 시승회는 사전 온라인 등록만으로도 신청자가 넘쳐 시승현장에서는 대기표를 받아야 했다.

자율주행차 시승은 국민대학교의 자율주행차와 자율주행 트램,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의 ‘AEV-1’ 3대가 참여했으며 3일동안 모두 300여명의 인원이 시승했다.

모터쇼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끈
자율주행차 vs 인간 미션대결은 자율주행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모터쇼의 취지를 잘 살린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추운 날씨 등으로 자율주행차가 실력 발휘를 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대결은 장애물 회피, S라인 턴, 굴절 코스 통과 등 다양한 주행 상황에서 자율주행차와 인간이 각각 얼마나 정확하게 미션을 수행하는지를 평가해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17일 대결에서는 사전 신청을 받아 선발된 운전경력별 남녀 운전자 6명과 남경필 경기도지사, 한민관 프로 카레이서가 인간 도전자로 나섰다. 차량은 대창모터스와 충북대학교 TAYO(타요)팀이 공동으로 연구·제작한 자율주행차량이 사용됐다.

대학생들이 만든 자율주행차량은 장애물과 부딪히기도 하는 등 다소 부족한 보였으나 인간측 참가자들과 관람객들은 자율주행차의 주행성능에 놀라움을 표시하면서 앞으로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기대했다.

남경필 지사는 자율주행차와의 대결을 마친 후 인터뷰를 통해 "대학생들이 만든 차량이라 아직 부족한 점이 있지만 그 도전정신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도는 오는
12월부터 판교제로시티에서 자율주행차인 '제로셔틀’ 를 시범운행할 예정이다.

범 운행하는 11인승 자율주행차 제로(ZERO)셔틀미래교통수단으로 도민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서비스 모델을 만들어보자는 남경필 지사의 제안에 따라 경기도의 지원으로 차세대융합과학기술연구원이 개발했다.

제로셔틀은 12월부터 1년간 1단계 자율주행 셔틀 시범운행을 통해 도심 자율주행에 대한 기술적 안전성 및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한다.

2단계로 20191년간 실증운영에서 교통시스템과의 V2X 통신을 통한 정보교환 및 사용자 기반의 교통편의 서비스 실증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의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이 제한된 실험적 공간에서 행해진 것과 달리 이번 테스트는 2년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정기적으로 진행된다.

모터쇼 기간 중 함께 열린 자율주행 산업박람회와 국제포럼도 관련업계는 물론 일반 관람객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박람회에는 기간 중 모두 1만여 명의 관람객들이 업체 전시관을 방문했으며, 국제포럼도 이틀 동안 1천여 명이 참석해 글로벌 석학과 전문가들이 발표하는 자율주행 신기술에 관심을 보였다.

판교제로시티는 이번 사상 첫 자율주행 모터쇼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자율주행=판교제로시티라는 인식을 각인시키면서 향후 자율주행산업 중심지로서의 성장가도에 더욱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임종철 도 경제실장은 이번 모터쇼가 자율주행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를 높인 것은 물론, 앞으로 경기도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자율주행산업의 중심지로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특히 판교제로시티가 자율주행 산업 혁신클러스터로서 기술을 선도하고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함은 물론, 자율주행의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성남=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