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엔진·포터블파워 매물로
두산밥켓 지분 일부도 매각 검토
1조 이상 유동성 확보나서
17일 업계에 따르면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불확실한 미래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부채를 줄이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영업으로 번 돈의 상당수가 이자비용으로 빠져나가는 불안한 재무구조가 고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빚을 크게 줄여야 영업 현금흐름도 좋아지고 신용등급이 올라가 자금조달에도 숨통이 트일 수 있다.
두산그룹의 차입금은 11조원이고 부채비율은 272.1%다. 차입금 이자비용만 연간 5700억원에 달한다. 연간 벌어들인 영업이익(9000억~1조원)의 절반 이상이 대출 이자로 나가는 셈이다. 대출 이자보다 영업이익을 통해 번 돈이 2~3배(이자보상배율) 이상인 다른 대기업과 달리 두산은 1.8배 수준이다. 박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지난 몇 년간 그룹 현금창출 능력이 상당히 약해졌다”며 “무엇보다 재무건전성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14년부터 작년 5월까지 KFC, 두산동아, 공작기계사업부, 두산DST, 배열회수보일러(HRSG)사업부 등 알짜 계열사를 매각한 두산그룹이 다시 허리띠를 졸라맨 배경이다. 두산그룹은 지난 15~16일 공시를 통해 선박엔진 제조업체 두산엔진과 두산밥캣 내 비(非)건설기계 부문인 포터블파워사업부 매각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1조원 이상의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두산인프라코어(59.3%)와 두산엔진(10.6%)이 보유한 두산밥캣 지분 중 경영권을 제외한 지분 매각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매각 시 손실이 나지 않으려면 두산밥캣 주가가 4만6000원을 웃돌아야 한다.
정부의 ‘탈(脫)원전·탈석탄’ 에너지 정책에 영향을 받은 두산중공업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임원 감축과 조직 통폐합 등도 검토 중이다.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원전과 석탄화력사업의 국내 시장이 축소되면 실적 하락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계열사 매각뿐만 아니라 외부 투자자 유치와 자산 유동화 작업도 한창이다. 그룹 계열사들이 2020년 입주할 분당 신사옥 등 어떠한 자산도 예외 없이 부채를 줄이는 데 활용되고 있다.
두산그룹 계열사의 회사채 신용등급은 두산과 두산중공업이 ‘A-’, 두산인프라코어(BBB)와 두산엔진(BBB+)의 신용도는 ‘BBB’급이다. 두산건설은 투기등급인 ‘BB+’다. 두산의 경우 지난달 공모시장에서 회사채 1000억원을 조달하는 등 나은 여건이다. 하지만 나머지 계열사들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으로 자금을 조달해 빚을 갚고 있다.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두산그룹이 차입금을 3조~4조원가량 줄여야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대규/김익환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