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재단, 문화재 출토 전문기관과 옛 교도소 농장 터 발굴 본격화
'5·18 암매장 추정' 옛 광주교도소… 37년 만에 발굴 시작
5·18 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 소재 파악에 나선 5월 단체가 옛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추정지 발굴을 시작했다.

3공수여단 등 1980년 당시 계엄군 주둔지였던 옛 교도소에서 이뤄지는 암매장 발굴은 항쟁 37년 만에 처음이다.

5·18기념재단은 6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재소자 농장 터에서 문화재 출토방식으로 암매장 흔적을 찾기 시작했다.

매장문화 조사와 연구, 보존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단체 대한문화재연구원이 5·18재단 의뢰로 발굴 실무와 현장 총괄을 맡았다.

연구원은 이날 오전 8시께 암매장 추정지 현장에 작업자를 투입해 땅을 고르고 작은 삽 등 손 공구로 약 10㎝ 깊이씩 땅을 파면서 정밀히 조사하는 중이다.

의심스러운 물체가 나타나면 흙 알갱이를 체로 걸러내 유해 여부를 선별한다.

소형 굴착기도 중장비가 필요할 경우 일손을 거들고자 현장에서 대기한다.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 최인선 순천대 문화유산연구소장 등 고고학 분야 전문가 그룹이 발굴 전반을 자문한다.

재단은 날씨 상황이 좋다면 이날부터 약 15일 뒤에 유해 존재 여부가 판명될 것으로 내다봤다.

재단은 이날 오후 2시 옛 교도소 일원에서 현장 기자회견을 열어 발굴 세부 계획과 일정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발굴 현장을 언론에 공개하는 기자회견을 검토 중이나 법무부 허락이 필요하다.

양 측은 이와 관련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현장에서 5·18 행방불명자 유해가 나오면 광주지방검찰청이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재단과 검찰은 유해수습과 신원확인 주체를 두고 협의 중이다.

5월 단체는 1980년 5월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 지휘관이 검찰 조사에서 남긴 진술과 약도, 당시 교도소 수용자였던 시민이 전한 제보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를 5·18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3공수 지휘관은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1980년 5월 23일 오후 6시부터 약 2시간에 걸쳐 12구의 시신을 매장한 사실이 있다'며 '2구씩 포개 6개의 구덩이에 묻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5·18 당시 보안대 자료에는 옛 교도소에서 억류당한 시민 28명이 숨졌는데 항쟁 후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재단은 지난 3일 옛 교도소를 소유한 법무부로부터 발굴 착수 승인을 받자마자 현장에 중장비를 배치하는 등 작업에 들어갔다.

하루 만인 4일 콘크리트 포장과 수풀 등 겉흙층 장애물을 제거하고, 쇠말뚝과 노끈으로 작업 구획을 나누는 단계까지 마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