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교육정책에 관여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술발전이 빨라지면서 당장 3년 뒤, 5년 뒤 기업에서 필요한 인재상을 예측하기 어려워져서다.

프란체스코 파스토레 이탈리아 캄파니아 루이지 반비탤리대 경제학과 교수(사진)는 2일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7’에서 ‘창의적 전문가 어떻게 키울 것인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앞으로는 교육정책을 만들 때 정부와 교육기관,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게 파스토레 교수의 제언이다. 정부가 교육정책을 내놓으면 그에 따라 교육기관들이 인재를 양성한 뒤 기업에서 인재를 뽑아가는 식의 시스템으로는 더 이상 인재를 키울 수 없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정부의 인사정책 담당자도 이 의견에 동의했다.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장은 “이제는 3년 뒤 기업에서 어떤 능력을 갖춘 인재를 원할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다”며 “교육정책을 처음 내놓을 때부터 정부와 기업이 함께 논의하는 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기업이 교육정책 측면에서 해야 할 역할은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파스토레 교수는 “미국과 유럽에선 이미 교육기관과 기업이 함께 교육 방향을 고민하는 시도가 있다”며 “기업들이 교육방향을 설정하는 데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왕리빙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교육혁신 및 기술개발국장은 “대학에서 학문만 가르치는 것은 인적·교육자원 낭비”라며 “수요를 고려해 직업훈련 등 실무적인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의 해외 인력 채용을 담당하는 임상모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글로벌협력그룹 전무는 “단순 지식을 교육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졌다”며 “개인별 직무 능력 진화에 초점을 두는 ‘맞춤형’ 교육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 전무는 학습자 관점에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해외 우수 인재들은 입사를 결정할 때 연봉이나 기업 브랜드보다 직무에 초점을 맞춘다”며 “원하는 직무를 정해 전문적인 역량을 꾸준히 개발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