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근 KAIST(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사진= KAIST 제공
박용근 KAIST(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사진= KAIST 제공
박용근 KAIST(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37)가 지난달 12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광학회(The Optical Society·OSA) 이사회에서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됐다.

박 교수는 바이오의학 분야에 적용되는 디지털 홀로그래피와 파면 제어 기술 분야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이례적으로 젊은 나이임에도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미 광학회 석학회원 평균 연령대는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박 교수는 2010년부터 KAIST 물리학과에 재직하며 홀로그래픽 기술과 광 산란 제어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3차원 홀로그래픽 현미경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해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의학, 생물학 연구를 수행했고 관련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기존에는 세포를 형광 물질 등으로 염색해야만 3차원 영상 촬영이 가능했다. 그러나 박 교수의 HT(holotomography)기술은 살아있는 세포와 조직을 염색하지 않고도 실시간 3차원 영상을 측정할 수 있어 다양한 생물학, 의학 분야의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박 교수는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2015년 토모큐브를 설립했다. 작년에는 소프트뱅크벤쳐스, 한미제약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 받았고 현재 MIT, 미국 피츠버그의대, 독일암센터, 서울대학교병원 등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 연구 기관에서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박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광산란 측정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더웨이브톡을 설립해 네이버를 비롯한 기관들의 투자를 받아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박 교수는 "KAIST 부임 후 수행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석학회원에 선정돼 기쁘다. 훌륭한 연구원들과 학교의 지원 덕분"이라며 "기초와 응용, 두 분야에서 계속 새로운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정진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 교수는 네이처 포토닉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미국국립과학원회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등에 10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