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지방선거(2018년 6월13일)가 8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지방선거는 시·도지사 등 풀뿌리 권력을 선출한다는 의미 외에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처음 치러지는 전국 단위 선거라는 점에서 정치적 의미가 크다. 여당이 승리하면 문재인 정부는 국정 운영에 더욱 가속도를 낼 수 있다. 반면 야당이 승리할 경우 여권은 정국 주도권을 빼앗기고 집권 중반기를 힘겹게 보낼 가능성이 높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문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 등을 감안했을 때 현재로선 여당에 유리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과거 사례를 봐도 정권 초 치러진 지방선거에선 여당이 우세한 경향이 있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이었던 1998년 6·4 지방선거가 대표적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취임한 지 3개월여 만에 열린 선거에서 당시 여당인 새정치국민회의는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장 선거 중 6곳에서 승리했다.

공동 정부를 구성했던 자유민주연합이 4곳에서 승리한 것까지 포함하면 여권이 16곳 중 10곳을 가져갔다. 제1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은 6곳 승리에 그쳤다.

2014년 6·4 지방선거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집권한 지 1년여밖에 지나지 않은 정권 초기에 치러졌다. 17개 광역단체장 중 여당인 새누리당이 8곳,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9곳에서 승리했다. 표면적으로는 야당이 ‘박빙 우위’였지만 선거 한달 여를 앞두고 세월호 참사가 발생, 여론이 악화됐던 점을 감안하면 여당이 ‘선방’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반면 집권 중·후반기에 치러진 지방선거에선 여당이 부진을 면치 못했다. 제1회 지방선거였던 1995년 6·27 선거부터 그랬다. 당시는 김영삼 대통령이 취임한 지 2년 4개월 여가 지난 시점으로 정권이 반환점을 돌 무렵이었다.

이 선거에서 집권 민주자유당은 15개 광역단체장 중 5개밖에 가져가지 못했다. 민주당이 4곳, 자민련이 4곳, 무소속 후보가 2곳에서 승리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집권 5년차였던 2002년 6·13 지방선거에선 야당인 한나라당이 16개 광역단체장 중 11곳을 가져가며 대승을 거뒀다. 노무현 전 대통령 4년차였던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16개 광역단체장 중 1곳밖에 못 이기며 참패를 당했다.

이런 징크스는 이명박 정부 3년차였던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도 반복돼 여당인 한나라당은 16개 광역단체장 중 6곳 승리에 그쳤고 야당인 민주당이 7곳에서 이겼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