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의 맥] 국가 R&D역량 결집, 치매 정복 앞당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회적 대재앙 될 치매 관리 절실
全주기적 치매R&D 국가가 지원
예방·조기진단·치료제개발 해낼 것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
全주기적 치매R&D 국가가 지원
예방·조기진단·치료제개발 해낼 것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
치매는 암 등 다른 질환과 달리 환자가 본인의 정체성을 지키지 못하는 무서운 병이다. 그래서 어르신들은 누구나 치매만은 피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돌아가신 치매 노모를 집에서 모셨던 지인이 있다. 맞벌이 부부였던 그는 출근하면 집에 홀로 있는 노모 걱정에 늘 마음을 졸였다. 가스레인지를 켜놓지는 않았는지, 2층 손자방에서 내려오다 넘어지진 않았는지, 밖에서 길을 잃지는 않았는지 걱정하다 가끔 한 번씩 조퇴해서 집에 가곤 했다.
치매 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현재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1명이 치매다. 약 7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치매 의료비와 장기요양비, 간병비, 교통비, 기저귀와 같은 보조물품 구입비 등 국내에서 치매 환자와 관련해 지출되는 비용은 연간 12조원에 이른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서 치매는 사회적 대재앙이 될 수도 있다. 치매 환자가 2030년에는 127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치매와의 싸움을 사회, 국가 차원에서 대처해야 할 장기전으로 인식하고 지난 18일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치매 어르신과 그 가족의 고통을 한 개인이나 가정이 아니라 국가가 함께 극복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치매 조기진단과 예방부터 상담·사례관리, 돌봄과 의료지원까지 종합적 치매지원 체계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전국 252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 개설, 치매 환자 의료비(건강보험 적용) 본인부담률 10%로 인하, 경증 치매노인에 대해서도 장기요양보험 적용 등이 주요 내용이다.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 중 연구개발(R&D) 대책은 종합적인 치매대책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은 물론, 조기진단 및 치료 등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방안이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아직 치매의 원인과 발병 경로, 예측 및 예방책 등을 알아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간편하고 정확한 진단방법을 개발하거나 완치가 가능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야 치매환자 및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덜 수 있다.
희망적인 것은 국내 최고의 인력이 보건의료 분야에 모여 있다는 점이다. 이번 대책은 부처별 파편적 지원에 그쳤던 과거와 달리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역량을 결집해 치매 연구개발의 모든 주기를 함께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는 치매 연구개발 정책에 부처 간 협업을 시도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정부의 역할은 우수한 인력이 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분위기와 인프라를 갖춰주는 것이다. 치매정복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오늘(20일)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가 발족된다. 국내 학계·병원·연구소·산업계의 치매연구 권위자들로 구성돼 있다. 위원회는 올해 말까지 치매 연구개발 10개년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는 △원인규명 및 예방분과 △혁신형 진단분과 △맞춤형 치료분과 △체감형 돌봄분과 등 4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치매 예방→진단→치료→돌봄에 이르기까지 전(全)주기적 세부 연구개발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치매환자와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돌봄기술 개발과 치매 발병을 줄이기 위한 예방에 무게를 둘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혈액 검사 등을 통한 조기 진단과 원인 규명을 통한 치매 치료제 개발 등 치매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계획을 마련한다.
필자가 여섯 살이던 1961년, 달 정복은 한낱 공상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8년 뒤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으로 그 꿈은 이뤄졌다. 치매 정복을 위한 싸움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치매 어르신과 가족, 국민의 고통을 나누고자 하는 연구개발자들의 열정과 끈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뤄진다면 치매 정복은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10년 후 우리 사회에 놀라운 변화가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
지금은 돌아가신 치매 노모를 집에서 모셨던 지인이 있다. 맞벌이 부부였던 그는 출근하면 집에 홀로 있는 노모 걱정에 늘 마음을 졸였다. 가스레인지를 켜놓지는 않았는지, 2층 손자방에서 내려오다 넘어지진 않았는지, 밖에서 길을 잃지는 않았는지 걱정하다 가끔 한 번씩 조퇴해서 집에 가곤 했다.
치매 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현재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1명이 치매다. 약 7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치매 의료비와 장기요양비, 간병비, 교통비, 기저귀와 같은 보조물품 구입비 등 국내에서 치매 환자와 관련해 지출되는 비용은 연간 12조원에 이른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서 치매는 사회적 대재앙이 될 수도 있다. 치매 환자가 2030년에는 127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치매와의 싸움을 사회, 국가 차원에서 대처해야 할 장기전으로 인식하고 지난 18일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치매 어르신과 그 가족의 고통을 한 개인이나 가정이 아니라 국가가 함께 극복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치매 조기진단과 예방부터 상담·사례관리, 돌봄과 의료지원까지 종합적 치매지원 체계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전국 252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 개설, 치매 환자 의료비(건강보험 적용) 본인부담률 10%로 인하, 경증 치매노인에 대해서도 장기요양보험 적용 등이 주요 내용이다.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 중 연구개발(R&D) 대책은 종합적인 치매대책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은 물론, 조기진단 및 치료 등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방안이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아직 치매의 원인과 발병 경로, 예측 및 예방책 등을 알아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간편하고 정확한 진단방법을 개발하거나 완치가 가능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야 치매환자 및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덜 수 있다.
희망적인 것은 국내 최고의 인력이 보건의료 분야에 모여 있다는 점이다. 이번 대책은 부처별 파편적 지원에 그쳤던 과거와 달리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역량을 결집해 치매 연구개발의 모든 주기를 함께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는 치매 연구개발 정책에 부처 간 협업을 시도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정부의 역할은 우수한 인력이 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분위기와 인프라를 갖춰주는 것이다. 치매정복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오늘(20일)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가 발족된다. 국내 학계·병원·연구소·산업계의 치매연구 권위자들로 구성돼 있다. 위원회는 올해 말까지 치매 연구개발 10개년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는 △원인규명 및 예방분과 △혁신형 진단분과 △맞춤형 치료분과 △체감형 돌봄분과 등 4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치매 예방→진단→치료→돌봄에 이르기까지 전(全)주기적 세부 연구개발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치매환자와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돌봄기술 개발과 치매 발병을 줄이기 위한 예방에 무게를 둘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혈액 검사 등을 통한 조기 진단과 원인 규명을 통한 치매 치료제 개발 등 치매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계획을 마련한다.
필자가 여섯 살이던 1961년, 달 정복은 한낱 공상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8년 뒤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으로 그 꿈은 이뤄졌다. 치매 정복을 위한 싸움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치매 어르신과 가족, 국민의 고통을 나누고자 하는 연구개발자들의 열정과 끈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뤄진다면 치매 정복은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10년 후 우리 사회에 놀라운 변화가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