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유찰로 年사용료 예상가격 5억7천만원에서 50% 하락
7번 입찰하고도 운영자 못찾은 '28억원짜리' 대공원 야구장
서울시가 2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은 서울대공원 사회인·어린이 야구장이 7차례에 걸친 입찰에도 아직 운영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 예측 실패로 유찰이 이어지면서 야구장은 6개월 넘게 빈 공간으로 남아 있다.

당초 연간 사용료로 5억7천만원을 내걸었다가 이마저 2억원대로 낮췄다.

12일 서울시의회 등에 따르면 서울대공원은 사회인과 어린이 야구 활성화를 위해 야구장 3면을 만들기로 하고 공사를 진행해왔다.

지난해 12월 성인 야구장 1면, 어린이 야구장 1면 공사를 끝냈고 올해 12월 완공을 목표로 성인 야구장 1면 공사를 하고 있다.

이곳은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대공원역에서 5분 거리라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서울대공원은 최고가 입찰을 통해 야구장 운영업체를 찾기로 하고, 입찰 참가자격을 서울·경기지역에 사무소를 둔 야구 관련 비영리 단체로 제한했다.

감정평가법인에 의뢰해 야구장 연간 사용료(예정가격)로 5억7천만원을 받아야 한다는 결과를 받고선 이를 토대로 입찰을 진행했다.

그러나 올해 3월 말 있었던 첫 입찰과 두 번째 입찰 참여 업체는 전무했다.

4월 말 진행한 3회 입찰 때 연간 사용료를 5억1천만원으로 낮췄으나 여전히 무응찰로 끝났다.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시행령에 따라 3번째 일반입찰 때부터는 매번 예정가격의 10%만큼을 낮춰 최고 50%까지 삭감할 수 있다.

4∼6회 입찰 땐 야구 관련 단체 1곳이 계속해서 입찰에 참여해 '무응찰 사태'는 피했다.

그러나 이 단체는 입찰 보증금을 내지 않거나 기한 내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지 않았다.

입찰 때마다 야구장 연간 사용료가 10%씩 낮아지면서 7회 입찰 땐 2억8천만원까지 떨어졌다.

그래도 결과는 유찰이었다.
7번 입찰하고도 운영자 못찾은 '28억원짜리' 대공원 야구장
이후 서울대공원은 야구 관련 비영리 단체와 수의 계약을 추진했지만, 이 과정에서 특정 업체에 특혜를 주는 것 아니냐는 민원이 제기돼 서울시 감사위원회가 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서울시 감사위원회 관계자는 "야구장 운영자 선정 과정을 살펴본 결과 입찰 과정 자체에는 법 위반 사항이 없었다"고 밝혔다.

서울대공원이 지난 3월부터 6개월 넘게 운영업체를 찾는 데 실패하면서 세금을 들여 지은 야구장은 제구실을 못 하고 있다.

애초 입찰 자격과 사용료를 비현실적으로 설정한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박치순 서울대공원 총무과 팀장은 "유사 야구장의 연간 사용료가 1억5천만∼2억원 수준인데, 애초 제시한 사용료(예정가격)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수의 계약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어 운영자를 찾을 다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보조금을 지급해 운영을 맡기는 위탁 관리 방식, 직영 방식 등을 놓고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대공원은 야구장을 일반인·유소년 야구교실과 소외계층, 다문화가정, 저소득층을 위한 야구 프로그램을 하는 데 쓰겠다고 밝히고 있다.

서울대공원 야구장 부지(과천시 막계동)는 수영장, 원숭이를 조련하는 장소 등으로 쓰이다가 2004년 '원숭이학교'가 떠난 뒤 방치돼왔다.

이후 2006년에는 이 땅을 장기임대 받아 골프연습장을 세울 수 있게 도와달라는 부동산업자의 부탁을 받고, 서울시 5급 공무원이 부지 정보를 넘겨주는 일도 있었다.

대가로 4억원 상당의 전원주택을 받은 이 공무원은 작년에 항소심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cho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