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한 행보 예의주시…군사적 옵션까지 열어놔"
“군사적 제재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 제재에 대한 모든 옵션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있습니다.”

테드 요호 미 하원 아시아태평양소위원회 위원장(사진)은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의원회관에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반도 문제를 직접 다루는 아시아태평양소위원회 수장인 그는 워싱턴 정가를 움직이는 핵심 인물 중 한 명이다. 요호 위원장은 “물론 북한에 대한 물리적 제재는 가장 최종적이어야 한다”며 “김정은의 행보에 따라 미국이 선택하는 제재의 옵션은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가 남북회담을 제안한 데 대해서는 언급을 꺼렸다. 다만 사견임을 전제로 요호 위원장은 “우선 문 대통령과 김정은이 이 사안을 두고 다투도록 놔두는 게 맞다고 본다”고 답했다. “향후 사정에 따라 필요한 게 있으면 미국이 한국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 등으로 대화 조건이 만들어지지 않아 ‘시기상조’라며 불편한 반응을 보인 백악관에 비해서는 융통성 있는 반응이었다.

요호 위원장은 인터뷰 내내 북한에 대한 제재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정은 정권이 핵무기를 고도화하고 ICBM을 개발하는 등 미국을 위협하는 행위는 제재를 푸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북한이 인신 매매를 하고, 테러 집단에 무기를 제공하는 점도 지적했다. 요호 위원장은 “김정은이 이 같은 문제를 만들지 않았다면 한국에 사드를 배치할 일도, 테러 지원에 따른 제재를 강화할 일도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건을 언급할 때는 어조가 더 단호해졌다. 그는 “웜비어 사건은 북한의 잔인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미 의회가 ‘북한 인권법’을 발의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워싱턴=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