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를 크게 웃돌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취임 후 처음으로 70%대로 내려왔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는 지난 5일 전국 유권자 25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문 대통령 국정 지지율이 78.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리얼미터는 “충성도 낮은 지지층 일부가 이탈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놨다. 내각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본격화된 데다 청와대가 불붙인 ‘사드 보고 누락’ 조사와 관련한 논란 등이 지지율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대통령 취임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새 정부의 성공을 바라는 국민이 많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권위주의를 벗어던지고 국민에게 다가가는 모습을 보이면서 일련의 ‘신선한 충격’을 일으킨 것도 지지율 고공 행진의 한 요인이었다.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등 주요 공직에 ‘스토리 있는’ 인사를 연이어 발탁한 것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국가최고경영자로서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평가하는 본질일 수는 없다. 안보와 경제 등 국민의 일상에 영향을 끼치는 국정과제들을 안정감 있게 처리해나가는 것이 최우선 사명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일어난 소동이나 일자리 해법을 놓고 불거지기 시작한 논란에 대해 차분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정규직·비정규직을 ‘좋다·나쁘다’는 이분법으로만 봐서는 안 된다”는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의 고언에 청와대와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연달아 “양극화의 당사자로서 반성부터 하라”고 면박을 줬던 건 그런 점에서 부적절했다. 세금으로 81만 개 공공일자리를 만드는 것에 대해서도 미래 세대의 부담을 우려하는 일반 국민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는 것을 새 정부는 염두에 둬야 한다.

“보여주기식 ‘쇼(show)통’, 5대 인사원칙을 뒤집은 ‘불통’, 반대 의견에 귀를 막는 ‘먹통’에서 벗어나 ‘소통’의 길로 돌아올 것”을 주문한 야당들의 쓴소리에도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70%대 국정지지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언제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는 게 민심이고 여론이다. 경청과 소통의 정치가 필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