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좇는 폴리페서와 달리 전문성 활용은 긍정 평가
기술표준 분야 전문가인 강 국장은 “일만 보고 이 자리에 왔다”고 했다. 자리를 옮길 당시 으레 장·차관이나 공공기관장급으로 가는 교수들 사이에서 “급이 좀 낮은 것 아니냐”는 반응도 있었지만 개의치 않았다. 그는 “직위가 아니라 직무 중심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형태의 교수 참여는 폴리페서와 구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논공행상을 바라고 정치에 참여하는 ‘대통령 바라기’ 폴리페서와 달리, 교수로서의 전문성을 활용해 공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교수신문과 엠브레인이 벌인 설문조사에서 교수의 71.3%가 “폴리페서는 문제다”고 답했다. 해결해야 할 교수 사회의 문제점으로도 ‘무분별한 정치 참여’(29.5%)를 첫손에 꼽았다. 대학들 역시 ‘교수윤리헌장’ 등 관련 규정을 마련했다. 성균관대가 일찌감치 도입했고, 서울대는 폴리페서 관련 조항을 비롯해 기업 사외이사 등에 관한 겸직 금지 지침까지 내놓았다.
개방형 공직 참여는 장려하는 분위기다. 중소기업청장을 지내고 복귀한 한정화 한양대 경영대학 교수가 이런 케이스에 해당한다. 한 교수는 “폴리페서와 개방형 공직 참여는 다르다”며 “교수를 비롯한 여러 민간 전문가에 대한 공직 개방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 국장은 “ 교수로 돌아가도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은 조언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