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새 대북정책 기조를 ‘최고의 압박과 제재’로 정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시선이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결의안에는 동참하면서도 독자적인 대북 압박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 6, 7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첫 정상회담 직후부터 달라진 행보를 하고 있다.

중국 국적 항공사인 차이나에어는 17일부터 베이징~평양 간 노선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이 노선은 중국에서 2008년부터 유일하게 운항하고 있는 베이징~평양 노선이다.

이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중국 최대 국유 여행사인 중국국제여행사와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시트립 등 대다수 여행사가 북한 관광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주요 여행사 홈페이지에서 ‘북한’이란 검색어를 입력하면 “부합하는 상품을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만 뜨고 있다.

북·중 관계 전문가들은 이 정도의 경제 제재 조치가 북한의 핵 포기를 이끌어내긴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정부가 향후 동원 가능한 대북 압박 조치들을 단계적으로 내놓을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이 굴복하지 않으면 중국은 결국 대북 원유공급 중단이라는 극단적인 조치까지 동원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했다. 중국은 매년 100만t 정도의 원유를 북한 측에 유·무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는 북한 전체 원유 수입량의 75~9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대북 원유공급을 중단하면 북한 경제는 1년 내에 빈사 상태에 빠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