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상품이 사라진 중국 유통 매장.
롯데 상품이 사라진 중국 유통 매장.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이 본격화됐다. 한국 관광상품 판매금지, 중국 내 롯데마트 영업정지 조치 등이 이어졌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반(反)보호무역’을 주창한 신형 대국에 걸맞지 않은 “도를 넘은 보복”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현지 분위기는 어떨까. 중국인 전문가의 입장은 무엇일까. 한경닷컴은 여기에 주목했다. 사드 문제로 촉발된 한·중 관계 급랭은 기본적으로 양자 문제다. 합리적 비판은 필요하되 우선 상대 생각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한경닷컴이 국내 중국 전문가들에게 사드 문제 진단과 양국 관계 전망을 묻는 데 그치지 않고 중국 내부 목소리까지 발 빠르게 취재한 이유다. 현지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한 기자의 네트워크를 십분 활용했다.

미·중 관계와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 관련 전문가인 우르창 런민대 교수는 한경닷컴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사드 배치가 미·중 간 전략적 균형과 안정성을 깨는 것이기 때문에 중국이 격렬히 반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펑황망이 인용한 중국의 핵·미사일 전문가 리빈 칭화대 교수도 “사드 배치로 미국이 중국의 군사정보를 훤히 파악할 수 있어 지대한 전술적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공통으로 우려하는 대목은 사드의 핵심인 X밴드 레이더였다. 레이더 감시범위에 중국이 들어간다는 이유에서다. 현지 전문가들은 사드가 ‘대북용’임을 거론하며 “한국이 사드보다 탐지거리가 짧은 레이더를 도입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반한(反韓) 목소리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중국 내부의 신중론을 확인하는 성과도 있었다. 리빈 교수는 “한국도 중국의 반대를 염려해 오랫동안 고민했지만 나날이 강해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사드 배치를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진찬룽 런민대 교수는 현지 롯데 불매운동 움직임과 관련해 “롯데는 부지를 제공한 것이다. 기업이 정치적 문제에 휘말린 것”이라고 짚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