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vs 애플 '8의 승부수'는 안면인식…얼굴로 잠금 풀고 모바일뱅킹까지
생체인식은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 등 다른 사용자 인증 보완수단보다 도난이나 위조가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이 같은 생체인식이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에 결합되면 파급력이 커진다. 스마트폰이 지갑으로 바뀌며 온·오프라인의 각종 결제와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서다. 삼성전자와 애플 등 스마트폰 업체들이 생체인식 기술에 목을 매는 이유다.

◆삼성·애플, 다른 방식 안면인식

똑같은 안면인식을 내걸었지만 삼성전자와 애플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이를 구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8은 하드웨어의 변화 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 안면인식을 한다. 전면부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된 정보를 홍채인식 정보와 조합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나온 갤럭시노트7의 홍채인식 기능이 이미 높은 평가를 받은 만큼 안면인식은 이를 보조하는 기능으로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홍채인식에 이용되는 적외선 센서는 낮에 강한 햇빛 아래 노출되면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며 “안면인식 기능이 추가되면서 신뢰성은 높아지고 잠금 해제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의 1로 단축된다”고 설명했다.

애플의 아이폰8은 홍채인식 없이 안면인식만으로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할 예정이다. 안면인식에 삼성전자보다 더 많은 공을 들일 수밖에 없다. 이미 2013년 프라임센스를 시작으로 안면인식과 스마트폰 카메라 관련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다섯 개 이상 사들이며 기술을 개발해 왔다.

애플 안면인식 기술의 핵심은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 전면부에 장착되는 듀얼카메라다. 두 개의 카메라가 동시에 피사체를 인식하는 듀얼카메라는 사용자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개개인의 특성이 드러나는 얼굴의 포인트 수십 개를 집어내 사용자를 확인한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갤럭시노트7에 적용된 홍채인식에 뒤지지 않는 정확도와 속도를 갖춘 것으로 안다”며 “눈을 스마트폰 특정 부위에 맞춰야 하는 홍채인식에 비해 간편할 것”이라고 했다.

◆허물어지는 모바일과 금융 경계

모바일을 포함해 대부분의 인터넷 금융 서비스는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생체인증이 신뢰성을 얻으면 얘기가 달라진다. 홍채인식과 안면인식을 통해 스마트폰 잠금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각종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지문인증 기능이 지원되는 스마트폰이 늘면서 신한은행과 카카오 등이 송금이나 결제 시 비밀번호 대신 지문인증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다. 삼성페이와 애플페이 등 결제시스템도 생체인증 기술 개발과 함께 빠르게 확산되며 스마트폰의 금융 플랫폼화가 촉진될 전망이다.

2011년 모토로라가 지문인식을 도입하며 시작된 스마트폰 업체들의 생체인식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2014년을 전후로 삼성전자와 LG전자, 애플 등이 지문인식 기능을 경쟁적으로 도입했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에 홍채인식 기술을 적용하며 한 발 앞서 나갔고 애플 등은 이를 따라잡기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손바닥의 정맥을 활용한 생체인증 방식도 개발됐다. 적외선으로 손바닥을 촬영해 혈관의 패턴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KT는 사용자 목소리를 인식해 스마트폰 인증에 활용하는 서비스를 지난해 말 선보이기도 했다.

가장 널리 확산된 생체인증은 지문을 통한 것이지만 손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인증이 되지 않는 등 단점이 있다. 안면인식은 지문인식과 달리 기기에 접촉할 필요가 없어 거부감이 적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얼굴은 나이, 체중 변경, 성형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 트랙티카에 따르면 글로벌 생체인증 시장은 2015년 20억달러(약 2조3600억원)에서 2024년 149억달러(약 17조6000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노경목/안정락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