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연장 불승인] 황교안 대행도 탄핵하겠다며 갈등 키우는 야당…헌재 결정 이후가 더 걱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제2의 탄핵카드'
황교안 대행 법률 위반 안해…3야 일각서도 논란
대선주자들 승복한다며 광장서 분노 부추겨
황교안 대행 법률 위반 안해…3야 일각서도 논란
대선주자들 승복한다며 광장서 분노 부추겨
여야 4당 원내대표는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에서 어떤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승복한다는 구두 합의를 했다. “당연한 일”이라고까지 했다. 말뿐이었다. 자유한국당 소속 김문수 전 경기지사와 이인제 의원 등은 18일과 25일 탄핵 기각을 촉구하는 태극기 집회에 참석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등은 탄핵 촉구 촛불 집회에 참여, 헌재 압박에 나섰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27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기간 연장 요청을 승인하지 않기로 결정한 데 대해 여야가 첨예하게 맞섰다. 이 같은 갈등은 헌재의 탄핵 심판 이후 예상되는 한국 사회의 대립과 반목의 예고편에 불과할지 모른다는 게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바른정당은 탄핵 반대
황 대행의 특검 연장 불승인에 대해 야당 주자들은 반발했다. 문 전 대표는 “황 대행이 엄중히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안 지사와 이 시장,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등은 “민심이 탄핵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김 전 지사 등 한국당 주자들은 “너무나 당연한 결정”이라고 옹호했다.
야당의 대응 방향은 크게 두 가지다. 새 특검법을 제정하는 방안과 황 대행 탄핵을 추진하는 것이다. 탄핵에 대해 논란이 적지 않다.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은 국회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와 재적의원(299명) 과반수 찬성이 필요하다. 탄핵에 찬성한 민주당(121석)과 국민의당(39석) 정의당(6석)만으로 가결 요건은 된다.
관건은 특검 연장 불수용이 탄핵 사유가 될 수 있느냐다. 헌법 65조1항엔 ‘공무원이 그 직무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할 때에는 국회가 탄핵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고 돼 있다. 한국당뿐만 아니라 바른정당도 황 대행이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사항이 없다며 탄핵에 반대하기로 결정했다. 국회 처리가 쉽지 않은 대목이다. 정병국 바른정당 대표는 “황 대행의 연장 거부는 독재적 결정”이라고 비판하면서도 “법리상 탄핵 사유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야당의 탄핵 추진에 “초헌법적 발상”이라고 날을 세웠다.
세 야당이 탄핵카드를 꺼내든 것은 특검 연장 거부에 대한 야권 지지층의 반감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특검 무산을 방조했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어서다. 정치적 결정 성격이 짙다. 다만 민주당 내 일각에서는 지나친 국정 혼란을 부추긴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새 특검법 제정에 대해선 바른정당도 찬성하고 있어 3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새 특검법은 현재의 특검을 50일 연장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부칙 조항 등을 활용하면 박영수 특별검사가 수사를 계속할 수 있다는 해석이 야권에서 나온다. 다만 정세균 국회의장이 직권상정을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정치권은 황 대행이 불승인권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특검 연장이나 특검법 개정 합의를 해놓고 공방만 벌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특검 불승인에 대한 국민의 거부감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국면을 만든 것은 황 대행과 여권의 책임이라는 지적도 있다.
◆대선주자들이 법치주의 위협
다음달 헌재가 탄핵심판 결정을 내린 뒤 나라는 예측 불허의 위기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그 중심엔 정치권이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이 대립과 반목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할 뿐 팔을 걷어붙이고 갈등을 해결하는 대선주자는 찾아볼 수 없다.
유력 주자들 대부분 헌재 결정 승복에 미온적이거나 부정적이다. 문 전 대표는 탄핵이 기각되더라도 승복하겠다고 했으나 “그런 (기각) 상황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안 지사는 “국민상실감을 생각하면 ‘(헌재 결정을) 당연히 존중해야죠’라고 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시장은 “기각 땐 불복하겠다”고 강조했다. 법치주의를 무시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누가 집권해도 나라를 제대로 끌고 가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온다.
홍영식 선임기자/박종필 기자 yshong@hankyung.com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27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기간 연장 요청을 승인하지 않기로 결정한 데 대해 여야가 첨예하게 맞섰다. 이 같은 갈등은 헌재의 탄핵 심판 이후 예상되는 한국 사회의 대립과 반목의 예고편에 불과할지 모른다는 게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바른정당은 탄핵 반대
황 대행의 특검 연장 불승인에 대해 야당 주자들은 반발했다. 문 전 대표는 “황 대행이 엄중히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안 지사와 이 시장,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등은 “민심이 탄핵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김 전 지사 등 한국당 주자들은 “너무나 당연한 결정”이라고 옹호했다.
야당의 대응 방향은 크게 두 가지다. 새 특검법을 제정하는 방안과 황 대행 탄핵을 추진하는 것이다. 탄핵에 대해 논란이 적지 않다.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은 국회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와 재적의원(299명) 과반수 찬성이 필요하다. 탄핵에 찬성한 민주당(121석)과 국민의당(39석) 정의당(6석)만으로 가결 요건은 된다.
관건은 특검 연장 불수용이 탄핵 사유가 될 수 있느냐다. 헌법 65조1항엔 ‘공무원이 그 직무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할 때에는 국회가 탄핵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고 돼 있다. 한국당뿐만 아니라 바른정당도 황 대행이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사항이 없다며 탄핵에 반대하기로 결정했다. 국회 처리가 쉽지 않은 대목이다. 정병국 바른정당 대표는 “황 대행의 연장 거부는 독재적 결정”이라고 비판하면서도 “법리상 탄핵 사유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야당의 탄핵 추진에 “초헌법적 발상”이라고 날을 세웠다.
세 야당이 탄핵카드를 꺼내든 것은 특검 연장 거부에 대한 야권 지지층의 반감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특검 무산을 방조했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어서다. 정치적 결정 성격이 짙다. 다만 민주당 내 일각에서는 지나친 국정 혼란을 부추긴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새 특검법 제정에 대해선 바른정당도 찬성하고 있어 3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새 특검법은 현재의 특검을 50일 연장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부칙 조항 등을 활용하면 박영수 특별검사가 수사를 계속할 수 있다는 해석이 야권에서 나온다. 다만 정세균 국회의장이 직권상정을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정치권은 황 대행이 불승인권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특검 연장이나 특검법 개정 합의를 해놓고 공방만 벌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특검 불승인에 대한 국민의 거부감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국면을 만든 것은 황 대행과 여권의 책임이라는 지적도 있다.
◆대선주자들이 법치주의 위협
다음달 헌재가 탄핵심판 결정을 내린 뒤 나라는 예측 불허의 위기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그 중심엔 정치권이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이 대립과 반목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할 뿐 팔을 걷어붙이고 갈등을 해결하는 대선주자는 찾아볼 수 없다.
유력 주자들 대부분 헌재 결정 승복에 미온적이거나 부정적이다. 문 전 대표는 탄핵이 기각되더라도 승복하겠다고 했으나 “그런 (기각) 상황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안 지사는 “국민상실감을 생각하면 ‘(헌재 결정을) 당연히 존중해야죠’라고 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시장은 “기각 땐 불복하겠다”고 강조했다. 법치주의를 무시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누가 집권해도 나라를 제대로 끌고 가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온다.
홍영식 선임기자/박종필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