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탁업 진입문턱 확 낮춰
금융사가 겸업하던 신탁
법무·의료법인 등 진입 허용…자기자본 요건도 대폭 완화
맡기는 재산 종류 확대
금전·부동산·증권 등에 부채·영업·보험청구권 추가
신탁상품 한층 다양해질듯
신탁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소비자가 자신의 재산을 관리·처분할 권한을 금융회사 등에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 신탁시장의 국내 규모는 2013년 154조원에서 지난해 9월 710조원으로 불어났다. 외형만 보자면 다섯 배가량으로 커졌다.
하지만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멀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탁시장 규모는 한국이 42.7%에 불과한 반면 미국은 590%, 일본은 171%에 달한다. 신탁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인식도 금융투자상품 중 하나일 뿐이다. 까다로운 규제와 엄격한 운용조건 탓에 매력도가 떨어지는 상품이다.
ADVERTISEMENT
금융위원회가 12일 내놓은 신탁업 개편 방안에는 이 같은 신탁시장을 대대적으로 활성화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신탁을 저금리·고령화 시대의 종합자산관리 수단으로 키우겠다는 게 금융위 계획이다.
◆진입 문턱 확 낮춘다
개편 방안의 핵심은 신탁업 진입 문턱을 낮추고 신탁을 통한 자산운용 범위를 대폭 확대한 데 있다. 지금은 자본시장법에 따라 신탁을 금융투자업의 하나로 규제한다. 이 때문에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기존 금융회사가 신탁업 인가를 받아 겸업하는 형태다.
인가 조건도 까다롭다. 종합신탁업자는 자기자본 250억원 이상, 금전신탁사업자는 130억원 이상, 부동산신탁업자는 10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 신탁업으로 운용 가능한 재산도 일곱 가지로 제한하고 있다. 예·적금 등 현금, 부동산, 유가증권, 동산, 지상권·전세권 등 부동산 권리 등이다.
ADVERTISEMENT
촘촘한 규제로 신탁업무를 하는 은행·증권·보험사의 영업전략은 천편일률적이었다. 특정금전신탁(MMT)에 넣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으로 운용하거나 정기예금형 금전신탁에 넣어두는 게 대부분이었다.
금융위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처럼 신탁업 진입 문턱을 낮추고 운용 범위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먼저 병원, 로펌 등 비(非)금융회사의 신탁업 진출을 허용한다. 예컨대 증여·상속 관련 법률자문에 강점이 있는 로펌은 유언신탁전문회사가 될 수 있게 인허가를 내주겠다는 의미다. 병원도 치매요양 전문, 암 등 중증질환 치료 전문 신탁병원으로 허가받을 수 있다. 은행, 증권사가 아닌 자산유동화전문회사나 부실채권관리회사가 신탁업에 뛰어들 수도 있다.
◆다양한 신탁상품 나온다
ADVERTISEMENT
당장 올해 말 법 개정이 이뤄지면 새로운 형태의 신탁상품이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게 생전신탁(유언대용신탁)이다. 금융소비자가 자신의 재산을 맡기면 신탁회사가 생전엔 본인을 위해, 사후에는 자녀·배우자를 위해 재산을 운용하고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지금도 생전신탁을 판매하는 곳은 있지만 수요는 거의 없다. 앞으로는 자산 외에 부채까지 생전신탁으로 맡길 수 있게 돼 수요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예를 들어 신탁가입자가 본인 아파트와 주택담보대출, 퇴직금을 포함한 전 재산을 생전신탁으로 맡기면 신탁사업자가 자산을 관리·운용하면서 가입자 사망 이후엔 대출금을 갚아주는 상품도 나올 수 있다.
생명보험청구권 유언신탁도 주목되는 상품이다. 지금은 보험청구권은 신탁 대상이 아니지만 앞으로는 유언신탁을 통해 보험금을 받을 권리를 자녀들에게 안정적으로 넘겨줄 수 있다. 신탁가입자 사후에 자녀가 미성년자일 때는 보험금 중 일부를 생활비로 주다가 성년이 된 뒤 목돈으로 지급하는 등 재산관리를 신탁회사가 알아서 해주는 서비스다.
ADVERTISEMENT
금융위 관계자는 “신탁업 개편안의 세부 그림은 오는 6월까지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마련한 뒤 10월 정기국회에 관련 법 제정안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류 관리기(스타일러)에 냉장고, 신발 관리기까지 갖춘 신개념 자동차가 등장했다. 기아의 다목적기반차량(PBV) PV5와 LG전자의 공간 솔루션이 결합한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이 그 주인공이다.기아와 LG전자는 3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PBV 기반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구현 비즈니스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기아는 부스에서 업무협약 비전을 보여주는 'PV5 슈필라움' 콘셉트카 2종을 LG전자와 함께 공개했다. 슈필라움은 독일어로 '놀이 공간'을 뜻한다. 기아의 PBV 기술력에 LG전자 가전이 더해져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나만의 사무실, 스튜디오, 라운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게 목표다. PV5 국내 첫 공개...LG와 협업한 콘셉트카 공개이날 공개된 슈필라움 스튜디오 콘셉트카는 이동이 잦고 작업 및 창고 공간이 모두 필요한 1인 사업가를 위해 기획된 차량이다. PV5 실내 공간에 최적화한 모듈형 스타일러·스마트미러·커피머신 등 인공지능(AI) 가전을 적용했다.일례로 AI가 고객의 비즈니스 스케줄에 따라 목적지 도착까지 잔여 이동 시간을 계산해 최적의 스타일러 코스를 제안하는 등 상황별 맞춤 설정이 가능하다.슈필라움 글로우캐빈 콘셉트카는 늘어나는 '차크닉'(자동차와 피크닉의 합성어) 수요를 겨냥한 차량으로 냉장고·광파오븐·와인셀러 등이 탑재됐다. 또 모든 가전 도어에 고객의 취향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 라이팅 컬러를 변경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업 패널이 적용됐다.양사는 PV5 슈필라움 콘셉트카의 내년 하반기 시장 진출을 목표로 협력 중이다. 또 냉장고
국내 수입차 시장의 왕좌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BMW와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서울모빌리티쇼)'에서 다양한 차량을 선보이며 격돌한다. 시선을 사로잡는 다양한 차량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각 브랜드의 미래 비전과 혁신을 뽐낼 예정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MW코리아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올해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각각 13대, 15대씩 차량을 전시한다. BMW는 고성능 순수전기 모델을, 벤츠는 퍼포먼스 럭셔리 및 최고급 맞춤 제작을 전면에 내세웠다.BMW는 부분변경을 거치며 새로운 디자인 언어를 반영해 존재감이 한층 강렬해진 ‘뉴 i4 M50 xDrive 그란 쿠페’와 최신 전동화 시스템을 적용해 주행 성능과 전력 효율이 모두 향상된 ‘뉴 iX M70 xDrive’를 국내 최초로 공개한다.뉴 i4 M50 xDrive는 부분변경을 통해 내외관에 새로운 디자인 요소를 도입하며 스포티한 매력과 고급스러운 감성을 더욱 강화했고 편의사양도 향상돼 보다 높은 상품성을 제공한다. 뉴 iX M70 xDrive는 부분변경을 거치며 더욱 발전된 전기 구동 시스템 도입과 각종 부품의 최적화로 전력 효율과 주행 성능이 모두 향상됐고, 새로운 내외관 디자인을 적용하면서 BMW M 전용 사양을 더해 한층 스포티한 감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더불어 BMW의 순수전기 세단 라인업을 대표하는 뉴 i5 xDrive40 및 i7 xDrive60 M 스포츠 인디비주얼 투-톤 벨벳 오키드 에디션, 브랜드 최초의 순수전기 SAC 뉴 iX2 eDrive20, BMW M 하이 퍼포먼스 세단 최초로 전기화 기술을 도입한 뉴 M5 퍼스트 에디션 등을 통해 고도의 전기화 기술과 고유한 주행 감성의 절묘한 조화를 보여줄 계획이다.미니(MINI)는 ‘짜릿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가 비상이 걸린 가운데 현대차는 관세로 인한 미국 내 차량 판매 가격 인상 가능성을 일축했다.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한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앞서 25%라는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서는 상호관세가 면제됐지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무관세 효과가 사라지면서 미국 수출량이 많은 국내 완성차 업체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관세 사정권 든 현대차그룹..."美서 가격 경쟁력 유지할 것"지난해 한국 자동차 생산 대수는 413만대로, 이 중 278만대가 수출되며 그 비중은 67%에 달한다. 전체 수출 차량 중 미국으로 가는 자동차 대수는 143만대로 전체 생산의 35%, 전체 수출의 51% 수준이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가 적용될 경우 한국 자동차 수출액이 지난해 대비 약 63억5000만달러(9조2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현대차그룹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KB증권에 따르면 25%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자동차에는 약 1225만원의 관세가 붙으며 이 중 40%는 미국 소비자가, 60%는 현대차·기아가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로 인해 현지 차량 판매 가격이 올라가면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판매 대수도 지난해 대비 6.3% 감소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다. KB증권은 현대차와 기아의 연간 이익 감소 폭을 각각 3조4000억 원, 2조3000억 원으로 추산했다.다만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현지 차량 가격 인상 가능성에 대해 부인했다. 무뇨스 사장은 이날 경기 고양시 일산 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