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의 ‘인천공항 4.0’ 프로젝트가 글로벌 공항업계에 공개됐다.공사는 지난 20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공항 AI 연합(AAA) 서밋’에서 인천공항을 인공지능(AI)산업의 선순환 생태계로 조성하는 내용을 담은 ‘인천공항 4.0’을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AAA는 미국 애틀랜타국제공항, 독일 프라포트 등 주요 글로벌 공항 운영사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이 모인 공항 AI 분야 글로벌 협력체다. AI 기반의 공항 운영 최적화와 지속적인 공항 발전 등 항공산업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이학재 공사 사장은 이날 인천공항에서 추진 중인 AI 인프라 확충, 연구개발(R&D) 활성화,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조성 등 인천공항 4.0 비전을 설명했다.인천공항 4.0은 공항 주변에 세계 첨단 기업과 우수 인재를 집결하는 프로젝트다. 구글, MS, 엔비디아 등의 아시아·태평양지역 본부와 연구소 등을 유치해 새로운 기술·혁신·가치를 창출하겠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인천공항 경제권 안에서 생산된 첨단기술, 혁신, 지혜를 세계로 확장하는 AI 생태계 구축이 목표다.공사는 인천공항 출범을 1단계, 세계 최고의 항공교통시설 구축과 서비스 제공을 2단계, 공항 경제권 구축과 문화예술공항 조성을 3단계로 구분한다.AI 허브에 입주한 빅테크 기업의 AI 기술이 인천공항의 여객, 물류, 항공정비, 복합문화레저 기반 시설에 적용되면 새로운 혁신 기회가 열릴 것으로 공사는 전망하고 있다. 또 인천공항과 주변 도시에 글로벌 인재가 모여야 스타트업이 만들어지고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본다.이 사장은 “코로나19 사태, 미·중 패권 경쟁
경북 산불 대피 과정에서 ‘마을 순찰대’가 정상 가동됐던 곳은 인명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당국은 마을순찰대 대응 매뉴얼을 개선할 방침이다.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의성군에서는 이번 경북 산불 대피 과정에서의 사망자가 헬기 추락으로 목숨을 잃은 고(故) 박현우 기장을 제외하고 한 명으로 집계됐다.주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한 덕이다. 특히 재난안전문자 등을 통해 대피 명령이 발령되기도 전에 의성군 주민 2000여명은 마을순찰대 안내를 따라 대피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군 소속 마을 순찰대장과 시·군 안전 부서 및 읍·면·동장과 긴밀하게 산불 상황을 전파하고 신속히 주민을 대피시킨 것이다.하지만 산불이 태풍급 속도로 번지며 현재의 마을순찰대 운영의 한계점도 드러났다. 산불이 초고속으로 동진하며 영양·영덕군 일대를 덮치자 마을순찰대는 활동 자체가 어려웠다. 단전과 함께 통신까지 두절되자 주민 등에 상황을 전파할 방법이 없었다. 특히 소규모 가구 수가 밀집한 청송·영양·영덕 마을에서는 순찰대가 정상 가동되지 못했다.이에 따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근 "25일 산불은 초고속이었기 때문에 대피 명령이 (기존) 마을 순찰대 매뉴얼과 맞지 않았다"라며 "이번 산불을 계기로 이상 기후 매뉴얼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내년 7월 인천시 중구는 이웃 동네인 동구와 합해져 제물포구로 새롭게 출범한다. 방위식 명칭인 중구에서 벗어나 제물포라는 역사성을 지닌 새 이름을 갖게 된다.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가 영종구로 독립하면서 행정단위 면적이 축소되고 세수 감소가 예상되지만 지역 특화 발전의 기회를 얻게 돼 행정체제 개편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김정헌 인천 중구청장(사진)은 “행정체제 개편은 지역별로 여건에 적합한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기회”라고 말했다.제물포구는 민선 8기 대표 공약인 제물포 르네상스가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원도심에 활력이 생겨 사람과 자본을 불러 모을 수 있다. 제물포 르네상스는 1970~1980년대 인천의 중심지인 동인천역, 신포동, 월미도, 인천 내항, 차이나타운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활력이 넘치는 도시로 만드는 사업이다.김 청장은 “원도심은 인구 고령화, 상권 침체, 건물 노후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청년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 고령 인구를 위한 정책 등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인천 중구와 동구는 동인천역, 신포동, 답동사거리 등 과거 불야성이던 상업 지역을 확보하고 있어 인천의 명동이라는 명성과 함께 부활을 꿈꾸는 원도심 1호로 불렸다. 이에 행정체제 개편으로 합해지는 중·동구는 동인천역·인천역 역세권 개발, 북성포구 친수공간 조성 등 철길을 기준으로 관할권이 나뉘어 추진이 어려웠던 핵심 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반면 통합 과정의 어려움도 있다. 중구는 영종구와의 분리와 동구와의 통합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많은 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