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vs 펀드] 23개 선진국 3200개 종목에 분산투자…미국이 60%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자산운용 글로벌선진국 펀드
![[펀드 vs 펀드] 23개 선진국 3200개 종목에 분산투자…미국이 60%](https://img.hankyung.com/photo/201701/AA.13111912.1.jpg)
이 펀드는 기업의 기초체력(펀더멘털) 분석을 토대로 종목을 선정하는 전통적인 액티브 펀드와 차별화한 ‘뉴 액티브’ 펀드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펀드의 초과성과(α)는 매니저의 탁월한 종목 선정 능력이라기보다 사이즈, 실적 대비 주가(밸류), 수익성 등 시장의 구조적 위험에 대한 보상 성격이 강하다. 뉴 액티브 펀드는 이런 알파의 원천에 꾸준히 투자한다. 소형주와 가치주 이익이 높은 고수익성 주식 비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더불어 패시브펀드처럼 회전율을 낮춰 비용을 줄이는 전략을 구사한다.
ADVERTISEMENT
이 펀드는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미국 DFA(Dimensional Fund Advisor)가 위탁운용한다. 1981년 설립된 DFA 본사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있으며 세계 8개국에 현지법인을 두고 있다. 운용자산은 약 500조원. 글로벌 50위권이다. 이 회사의 투자철학은 금융경제학 연구에 기반했다. 케네스 프렌치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가 이 회사의 투자정책위원회 및 투자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이유다.
이진아 삼성자산운용 시스템전략팀 팀장은 “뉴 액티브 펀드는 초과 성과를 추구하는 액티브 펀드와 체계적이며 수수료가 저렴한 패시브 펀드의 장점을 모두 갖췄다”고 설명했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