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 리포트] 책 배달은 기본, 한강 조망에 웹툰 작가 특강까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 동네 구립도서관이 달라졌어요~
마포구, 청사 12층에 하늘도서관
한강 야경 입소문에 78만명 방문
성북·관악·은평구 'U-도서관'
지하철역 무인기기로 책 대여
"공공도서관 질적 개선 계속돼야"
마포구, 청사 12층에 하늘도서관
한강 야경 입소문에 78만명 방문
성북·관악·은평구 'U-도서관'
지하철역 무인기기로 책 대여
"공공도서관 질적 개선 계속돼야"

구립도서관이 변신하고 있다. 낡은 책상과 손때 묻은 책들, 열람실을 가득 채운 수험생과 매점에서 파는 라면 등 종래 우리가 알던 도서관과는 차원이 다른 모습이다. 야경 명소로 떠오른 도서관부터 만화 마니아들의 성지(聖地)가 된 곳까지 시민들이 인터넷 블로그에 방문을 ‘인증’할 정도다. 인터넷으로 신청만 하면 출퇴근길 지하철역에 마련된 자동기기를 통해 자유롭게 원하는 책을 빌려보는 ‘공간파괴’ 도서관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ADVERTISEMENT
![[구청 리포트] 책 배달은 기본, 한강 조망에 웹툰 작가 특강까지!](https://img.hankyung.com/photo/201701/AA.13103626.1.jpg)
하루 1000명이 넘는 시민이 426㎡ 크기의 하늘도서관을 찾는다. 2015년 마포하늘도서관을 찾은 방문자 수는 78만4000여명. 면적이 5배나 넓은 동작도서관이나 구로도서관과 비슷한 수준이다. 마포구청 관계자는 “시민들이 가장 오기 편한 곳을 도서관으로 꾸민 것이 주효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직장인들이 지하철역에 설치된 책 대출 반납 시스템을 통해 출퇴근길에 쉽게 책을 빌려볼 수 있게 한 ‘U-도서관’ 역시 인기다. 도서관이 시민에게 찾아간다는 점에서 책배달 서비스와 같은 맥락이다. 구립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도서를 신청하면 2~3일 내에 자신이 선택한 지하철역 무인 대출·반납기로 책이 배달된다. 성북구(7곳) 관악구(5곳) 은평구(3곳) 등이 활발하게 시행 중이다.

“내실 있는 도서관 늘려야”
ADVERTISEMENT

하지만 도서관별 방문자 수나 대출도서 수는 오히려 줄었다. 국가도서관통계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 서울 시내 작은 도서관 세 곳 중 한 곳(861곳 중 307곳)이 하루 10명도 찾지 않은 채 방치됐다.
한 구청 관계자는 “도서관 지원 정책으로 도서관의 절대적 개수를 늘렸지만 도서관 향유층을 늘리는 데는 실패했다”고 털어놨다. 이에 일선 구청들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느라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이 도서관 변신의 발단이 됐다.
ADVERTISEMENT
황정환 / 구은서 기자 ju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