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경기가 2개월째 하락국면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주택산업연구원은 1월 주택사업경기실사지수(HBSI) 전망치가 48.1을 기록하면서 2개월째 40선의 하강국면 전망이 지속되고 있다고 4일 밝혔습니다.김덕례 주산연 주택정책실장은 "국내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난국, 계절적 위축, 각종 대책에 따른 시장심리 위축,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시화 및 연내 추가 상승 예고에 따른 국내 기준금리 상승 리스크 확대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다"고 말했습니다.지난해 12월 HBSI 실적치는 60.4를 기록하며, 11월 실적치(57.0) 대비 3.4포인트, 12월 전망치(43.9) 보다는 16.5포인트 증가했습니다.전달에 연이어 발표한 대책 영향으로 주택공급시장 환경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주택사업은 불안감속에서도 공격적인 사업추진 속도를 늦추지 않았던 것으로 주산연은 분석했습니다.주택사업환경이 크게 위축됐지만 상대적으로 1월 사업적 기대가 가장 큰 지역은 여전히 제주(76.9)와 세종(70.7)으로 나타났습니다.이어 서울(66.2)과 부산(66.7)이 지난달 대비 크게 개선되며 60선을 기록했습니다.그 외 지역들은 40~50선으로 주택사업경기가 전반적으로 지난해 보다 위축된 상태에서 하강국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지난해 12월 HBSI 실적치가 기준선(100)을 상회하는 지역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제주와 세종만 HBSI 실적치 70선을 유지하고 서울과 부산이 60선, 충청도와 전북·경북 지역은 40~50선을 보이면서 전국적으로 주택공급시장이 위축됐습니다.1월 분양계획 전망치는 74.3으로 전달 분양계획 전망치(79.0) 대비 4.7포인트, 12월 분양계획 실적치(76.4) 대비 2.1포인트 감소했습니다.신동호기자 dhshin@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정유라 패딩 실검에 오른 이유, 블레임룩 대체 뭐길래‥ㆍ정유라 패딩, 과거 `야상 대참사` 재조명.. 캐릭터도 있다?ㆍ정미홍 "문재인, 역사 교과서 제대로 읽어는 봤나".. 각종 발언 논란 왜?ㆍ`JTBC 신년토론` 전원책 "朴대통령 `밀회` 발언, 어떻게 저런 용어를.."ㆍ`살림하는남자들` 일라이, 쇼핑 중 아내와 급 뽀뽀? `깜짝`ⓒ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