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이 최근 10년새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KB국민은행에 따르면 `2016년 12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4.2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015년 상승률 5.56%보다 1.34%포인트 낮아졌으나 2007년 이후에는 2015년 5.56% 상승 다음으로 높았습니다.지역별로는 전국 1.50%, 수도권 2.89%, 지방 5개광역시 0.65%, 기타지방 -0.67%로 조사됐습니다.서울에서는 마포구 5.90%, 송파구 5.69%, 서초구 5.56%, 강남구 5.29%, 양천구 5.05% 등이 5%를 초과하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지방에서는 제주/서귀포 지역이 2015년 7.88% 상승에 이어 올해 10.18%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부산 해운대구 7.13%, 부산 수영구 5.04% 등도 많이 올랐습니다.수도권의 시/군/구 단위로는 과천 5.22%, 파주 3.77%, 의왕 3.66%, 광명 3.59% 순으로 수도권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보였습니다.서울의 단독과 연립 매매가격은 각각 1.31%, 1.34% 올랐습니다.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해 3.09% 올랐습니다.이는 2015년 상승률 9.57%보다 6.48%포인트 낮은 수치입니다.지역별로는 수도권 2.86%, 지방 5개광역시 0.94%, 기타지방 0.24% 등 전세가격 역시 서울과 수도권이 강세를 보였습니다.시/군/구 단위로는 서울 마포구 6.67%, 서대문구 5.94%, 제주/서귀포 5.97%, 부산 해운대구 5.07%, 파주 4.98% 순으로 높았습니다.서울의 단독과 연립 전세가격은 각각 1.57%, 1.90% 상승했습니다.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은 전달보다 0.1%포인트 하락하며 73.2%로 조사됐습니다.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75.4%로 9월 75.4%이후 4개월째 보합세입니다.국민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11.3 부동산대책과 가계부채 관련 대출규제, 미국발 금리인상 우려와 겨울철 비수기, 전문가들의 부동산시장 하향전망 여론 등이 형성되면서 매수·매도자 모두 관망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신동호기자 dhshin@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정유라 패딩` 어디서 많이 봤다 했더니.. `야상 대참사` 연상?ㆍ정미홍 前 아나운서, 연이은 논란…JTBC 공개 폄하 "조작이 밝혀져도 사과는 커녕…"ㆍ정미홍 "문재인, 역사 교과서 제대로 읽어는 봤나".. 각종 발언 논란 왜?ㆍ정유라 패딩, A부터 Z까지 “이런 패딩 숨김 처음이야”ㆍ안희정 "손학규, 정치 일선에서 은퇴해 달라"...안희정 반발 왜?ⓒ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