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내놓은 돈풀기 정책이 경기 부양에 큰 효과를 내지 못하면서 내년부터는 재정정책으로 관심이 옮겨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올 한 해는 각국 중앙은행들이 한계를 깨달은 시기였다”며 “내년부터는 각국이 재정정책을 펴면서 중앙은행들이 논란의 중심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16일 보도했다. 미국 중앙은행(Fed)과 일본은행, 유럽중앙은행(ECB) 등 그동안 저금리 정책과 국채 매입 프로그램을 운영해온 각국 중앙은행은 점차 역할을 줄여가고 있다.

Fed는 지난 14일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0.50~0.75%로 0.25%포인트 올렸다. 내년에는 세 차례까지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내비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도 금리 인상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어 이 같은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행이 향후 자산 매입 규모를 줄일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은행의 올해 국채 순매입액은 지난 주말까지 71조7000억엔에 그쳤다. 연간 국채 매입 목표인 80조엔에 크게 못 미친다. 구로다 하루히코 총재는 지난달 2% 물가상승 목표 달성시기를 2018년 이후로 미루겠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경제가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도 금융통화정책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간 것 같다고 평가했다.

ECB도 자산 매입 속도를 조절하기 시작했다. ECB는 지난 8일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국채 매입 등을 통한 전면적 양적완화 시행 기한을 내년 12월까지로 늦추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그 규모를 내년 3월까지는 현행 월간 800억유로로 유지하되 내년 4월부터 12월까지는 600억유로로 줄이기로 해 사실상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에 들어갔다는 분석도 나온다.

프레드릭 뉴먼 HSBC 이코노미스트는 “중앙은행들은 이제 연료가 다 떨어졌다”며 “통화정책이 올해 정점을 찍었고 점차 그 역할이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블룸버그는 내년부터는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의 부상으로 재정정책이 부양책의 중심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