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미국이 1년 만에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내년에 세 차례 더 인상할 여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예상했던 것보다 미국이 통화긴축에 속도를 내면서 내년초 주식시장 변동성도 크게 벌어질 전망입니다.김보미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이틀간의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0.25%P인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은 금리를 완만하게 인상하겠다고 밝혔지만, 연준 위원들은 내년 세 차례 금리인상도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연준이 지난 9월 제시한 것보다 금리인상 횟수를 늘린 것으로, 본격적인 통화 긴축과 달러화 강세를 예고하는 대목입니다.<전화인터뷰>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시장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거죠. (내년에) 3번 금리를 인상할 경우에는 3월에 또 인상이 단행될 수 있어요. 시장은 그때까지 경계감이 많을 것이고요."연준이 금리인상에 속도를 내고지만,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과 재정, 금리정책에 마찰을 빚은 점은 금융시장에 부담입니다.트럼프 당선인이 선거기간 옐런 의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한데다, 재임기간 연준위원 절반 이상을 교체할 수 있어 정책 연속성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연준이 강한 매파적 성향을 드러낸 가운데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이날 일제히 약세로 돌아섰습니다.달러화 강세로 국내 주식시장도 통화 약세와 이로 인한 외국인 자금유입 둔화 가능성이 제기됩니다.<인터뷰>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한국 시장에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강도나 이런 것들이 상당이 다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다만, 국내 기업의 4분기 실적 기대감이 크고, 대내외 굵직한 이슈가 모두 정리돼 증시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희망섞인 전망도 나옵니다.<인터뷰> 이경수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장"현재 기업실적에 대한 판단은 이전보다는 굉장히 좋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시장이 반영해 나간다면 시장의 흐름은 좋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증권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우리나라를 포함해 신흥국 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시점을 내년 1분기 말로 내다보고 있습니다.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이후 예산안 제출에 맞춰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고, 이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신흥국 시장으로 유입되는지 여부가 증시 향방을 가를 전망입니다.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김보미기자 bm0626@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박승 전 한은 총재 "금리 추가인하 회의적…내년부터 올려야"ㆍ美 1년 만에 0.25%p 금리인상…본격적인 `돈줄 죄기`ㆍ조민아, 베이커리 악플 심경?… "진심으로 대하는 게 왜곡.. 씁쓸하다"ㆍ베이커리 `논란 반복` 조민아, "내가 마카롱 줬으니까 행복할거야"결혼식장에서까지?ㆍ`현빈과 열애설` 강소라 이상형은? "키 크고 살집 있는 남자"ⓒ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