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투자위축, 87년 6월 항쟁 때와 같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한국일보)<앵커>탄핵정국으로 정치적 혼란이 커지면서 소비와 투자가 급속히 얼어붙고 있습니다.이 상태로 대선에 들어서면 경제 상황이 더 나빠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이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자>6월 항쟁과 13대 대통령 선거가 있던 1987년.민간 소비와 설비 투자 증가율이 각각 0.7%p, 6.2%p 감소했습니다.정치적 혼란이 소비와 투자 심리를 모두 얼려버린겁니다.최순실 국정농단 사건과 19대 대선이 맞물리는 내년도 경제 상황이 당시와 유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상황.<인터뷰>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대선이 있는 해, 특히 정치 불확실성이 심했던 해는 분명히 실물경제에 영향이 있다. 정부를 못 믿겠고 여당을 못 믿겠고 그것이 소비와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친다."대통령의 국정지지도 하락도 경기 침체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현대경제연구원은 역대 정권을 분석한 결과, 지지율이 10%p 낮아지면 소비심리지수가 2.9p 떨어진다고 발표했습니다.실제 갤럽이 조사한 대통령 국정지지율은 지난 10월 첫 주 29%에서 한 달 뒤 5%로 급락했고, 같은 기간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는 101.9에서 95.8로 떨어졌습니다.국내외 연구기관들도 내년도 경제상황을 부정적으로 보고있습니다.OECD는 지난달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6%로 낮췄고, 이달들어 한국개발연구원은 2.7%에서 2.4%로 하향 조정했습니다.정치 혼란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가뜩이나 위축된 우리 경제의 겨울 나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한국경제TV 이지수입니다.이지수기자 jslee@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표창원, 박근혜 대통령 탄핵 표결 심리학적 분석 “가결 유력”…이유는?ㆍ노무현 탄핵 이유·결과 `재조명`… 박근혜 탄핵 차이점은?ㆍ`썰전` 유시민, 김경진 의원에 사이다 엄지 눈길 "이게 바로 청문회" `그럴 만도`ㆍ탄핵 표결 시간, 오늘(9일) 오후 3시.. 표결 절차는?ㆍ탄핵 표결 시간 임박.. `긴장 속` 여야, 현재 상황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