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말은 다한 이재용 "부정적 시각 많은 미래전략실 없애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순실 국조' 기업 총수 청문회
집중공격 받은 이재용…사실상 '삼성 청문회'
최순실 지원, 부끄럽고 후회스러워
불미스런 일 없게 더 투명경영할 것
구태 버리고 변화 보여주겠다
정경유착 있다면 다 끊을 것
집중공격 받은 이재용…사실상 '삼성 청문회'
최순실 지원, 부끄럽고 후회스러워
불미스런 일 없게 더 투명경영할 것
구태 버리고 변화 보여주겠다
정경유착 있다면 다 끊을 것

이날 청문회는 ‘이재용 청문회’처럼 진행됐다. 이 부회장은 최순실 부녀 지원 의혹,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관련 국민연금 로비 의혹 등에 대해 10차례 이상 “송구스럽다”며 사과했다. 또 13시간의 청문회를 마치며 마지막 발언을 통해 “구태를 버리고 정경유착이 있었다면 모두 끊어버리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변화를 보여드리겠다”고도 했다.
ADVERTISEMENT
여야 의원들은 삼성의 미래전략실에 대해 집중 성토했다. 법적 존재도 아니면서 모든 의혹의 중심에 있다는 것. 이에 이 부회장은 “국민 여러분께서 부정적인 인식이 있으시면 미래전략실을 없애겠다”고 밝혔다. 이종구 새누리당 의원이 “주변 참모로 쓴소리하는 사람들을 쓰고 미래전략실은 해체해야 한다”고 하자 “여러 의원의 질타도 있으셨고, 질문 중 미래전략실에 관해 정말 많은 의혹과 부정적인 시각이 있는 것을 느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래전략실은 그룹 계열사의 주요 사안을 챙겨 온 조직이다. 계열사들은 사업에 집중하되 계열사 간 사업 구조조정, 대규모 인수합병(M&A), 사장단 및 임원 인사 등은 미래전략실에서 맡는 구조다. 이 때문에 지난해 삼성물산 합병 과정에서 엘리엇 측으로부터 “법적 권한이 없는 미래전략실이 의사 결정을 한다”고 공격받기도 했다.
ADVERTISEMENT
야당 의원들은 미르·K스포츠재단 기금을 모금한 전경련의 해체를 요구했다. 이 부회장은 이에 대해 청문회 초반엔 “개인적으로는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 “전경련에 기부금 내는 것을 중지하겠다”고 했지만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의 거듭된 탈퇴 요구에 “저희는 탈퇴하겠다”고 답했다.
삼성은 한 해 70억원가량의 전경련 회비를 내고 있다. 이는 전경련 연간 회비 수입의 3분의 1에 달한다. 전경련 연간 예산은 400억원 정도며 이 중 5대 그룹이 내는 회비가 약 200억원이다. 삼성 고위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예전부터 현재 전경련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고, (전경련이) 싱크탱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왔다”고 말했다. 다만 이 부회장은 전경련 해체에 대해선 “저희가 혼자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ADVERTISEMENT
이 부회장은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문경영인에게 경영권을 넘길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 “언제든지 훌륭한 분이 있으면 경영권을 넘기겠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하는 일 중에 가장 중요한 게 저보다 우수한 분을 찾아서 회사로 모시고 오는 일”이라고 답했다.
삼성 고위관계자는 “이 부회장은 회사를 키우고 성장시키지 못한다면 그만두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며 “원론적인 답변”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그는 이용주 국민의당 의원이 “경영권 승계를 위해 삼성물산을 합병하고 그 과정에서 국민연금까지 동원한 것 아니냐”고 몰아붙이자 “이렇게 국민에게 오해를 사고 비판을 받는다면 차라리 삼성물산 합병을 취소하고 싶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정유라 승마 지원 의혹 등과 관련해 “나도 책임질 게 있으면 책임지겠다”며 “(검찰·특검) 조사 후에 나를 포함해 조직의 누구든지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또 삼성의 ‘언론 길들이기’ 의혹에 대해선 “(비판적 기사가 나오더라도) 광고를 통해 언론사에 압력을 가하지 않겠다”고 했다.
김현석/도병욱 기자 realist@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