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외환과 장외 파생상품 시장이 10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한국은행은 11일 `BIS주관 세계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시장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지난 6월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거래 명목잔액이 1조3,520억달러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 세계 46개국 중앙은행이 자국 은행들의 거래잔액을 집계하는 3년단위 조사로, BIS는 우리 시각으로 11일 1시 이를 동시 발표했습니다.조사에 따르면 우리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거래 잔액은 지난 2007년 1조3,800억달러에서 2010년 1조3,530억달러, 2013년 1조3,228억달러, 2016년 1조3,520억달러로 10년째 비슷한 수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파생상품 명목잔액이 늘어난다는 것은 우리 금융시장 규모가 커지거나, 거래의 기반이 되는 현물(환율/금리)의 가격변동성이 확대됐다는 의미입니다.상품별로는 다소 조정이 있었는데, 외환파생상품은 3년전보다 1,602억달러 증가한 6,599억달러, 금리파생상품은 종전보다 1,152억달러 감소한 6,860억달러로 각각 조사됐습니다.특히 금리파생상품에서는 `금리스왑`이 1,152억달러 감소하며 상품 잔액 감소를 주도했습니다. 한국은행은 2014년 CCP 중앙청산소가 도입되면서 금리파생상품은 반드시 CCP를 통해서만 거래될 수 있게 됐다며 하지만 글로벌 인증이 늦어지면서 외국인들이 한동안 금리스왑 상품을 이용할 수 없게 돼 거래잔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2015년 이후부터는 CCP가 인정을 받아 금리스왑 상품의 잔액규모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입니다.한편 우리나라의 명목잔액은 세계시장의 0.25% 수준으로 3년전 0.19%에 비해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우리 파생시장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것이 아니라, 유로화의 파생상품 잔액 측정방식이 변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국은행 황문후 국제국 과장은 "2014년 런던시장이 거래추적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다자간 거래 시 이 잔액을 모두 인정하지 않고 한 건으로 취급하게 됐다"며 "이에 따라 금리스왑의 명목잔액이 급감하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세계시장 비중이 증가했다"고 소개했습니다.실제 세계 금리파생상품 가운데 금리스왑 상품의 잔액은 327조4,450억달러로 3년전보다 112조3,930억달러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외환과 금리파생상품 등 세계 파생상품의 명목잔액은 544조520억달러로 종전보다 152조680억달러 축소됐습니다.현존하는 세계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에 대해 모두 수익과 손실을 시현했을 때 가치를 말하는 `총시장가치`는 20조7천억달러로 3년전보다 5천억달러 늘었습니다. 총시장가치가 늘었다는 것은 현물시장회피 목적의 거래가 늘었다는 의미로, 현물시장의 리스크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뜻합니다. 한국은행은 조사가 진행됐던 6월 말 당시 브렉시트 이벤트가 있었다며 그에 따라 일시적으로 총시장가치가 높아졌을 뿐, 실제로는 감소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습니다.이근형기자 lgh04@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썰전` 전원책, 트럼프 당선 예상 적중 "내가 신기가 있는 모양이다"ㆍ트럼프 시대…수혜·피해 업종 찾기 `분주`ㆍ젝스키스 `세 단어` 가온차트 1위 기록, "역사는 계속 쓰여진다"ㆍ뉴욕증시, 규제완화 기대 금융주 급등…다우 1.17%↑ㆍ한국 외환·파생상품 시장 규모 1.3조달러…10년째 제자리ⓒ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