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환도 `정유라 밀어주기` 희생양…박근혜정부, 스포츠 4대악 무리한 추진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인 최순실씨의 검은 그림자가 ‘마린보이’ 박태환의 꿈도 좌절시켰던 것으로 드러났다.최순실씨 국정농단 사태 이후, 체육계 한 관계자는 "이 정권 들어 스포츠 4대악 신고센터를 개설하는 등 스포츠를 마치 `비리의 온상`으로 치부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특히 국민의 정부 시절 이해찬 교육부 장관이 교육 개혁을 하겠다며 교사들을 부정부패한 집단으로 몰아세우는 바람에 들끓었던 교육계의 분위기보다 지금의 체육계가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당시 이해찬 장관의 교육부와 교육계의 마찰은 그러나 특정인의 이권을 챙겨주거나 누구를 비호하려는 개인적이 목적은 없었던 반면 박근혜 정부의 체육계와 갈등 이면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 최순실 씨와 그의 딸 정유라, 조카 장시호 씨 등이 곳곳에 숨어 있어 체육 관계자들을 더욱 허탈하게 하고 있다.특히 수영 국가대표 출신 박태환도 승마 선수인 정유라 씨를 잘 봐주기 위한 프로젝트의 희생양이 됐다.박태환이 올해 8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나가지 못할 뻔했던 이유는 알려진 대로 대한체육회의 국가대표 선발 규정 때문이었다.도핑 관련자는 징계 만료일로부터 3년이 지나야 다시 국가대표가 될 수 있다는 규정에 발목이 잡혔다.얼핏 보면 최순실, 정유라 씨와 무관한 것처럼 보이지만 체육회의 대표선발 규정이 강화된 출발점이 정유라 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알려지기로는 박근혜 정권이 스포츠계 병폐를 없애겠다고 본격적으로 나선 시점은 2013년 5월로 되어 있다.당시 열린 태권도 전국체전 서울시 선발전에서 편파판정으로 패한 고등학생의 아버지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파문이 일자 박근혜 대통령이 유진룡 당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에게 체육계의 강력한 정화 운동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그러나 실제로는 2013년 4월 경북 상주에서 열린 승마대회에서 정유라 씨가 우승하지 못하자 이례적으로 경찰서에서 해당 대회 심판들을 조사하는 등 압력을 가했고, 청와대에서는 문체부에 승마협회 감사까지 지시한 사실이 드러났다.게다가 감사 결과가 청와대 심기를 거스르는 내용을 담자 박근혜 대통령이 유 전 장관에게 감사 책임자들을 경질하라고까지 지시했다는 것이다.태권도 편파판정을 빌미로 체육계 비리 척결을 내걸었지만, 그 뒤에서는 오히려 정권 차원에서 승마협회를 장악해 특정 선수 밀어주기에 나섰다는 주장이 뒤늦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정부는 이에 그치지 않고 2014년 1월 `스포츠 4대악 신고센터`까지 개설해 체육계에 해묵은 비위를 없애겠다며 소매를 걷어붙였다.또 2014년 7월에는 박태환의 발목을 잡을 뻔했던 국가대표 선발 규정도 강화하며 징계 기간이 끝난 선수에게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국가대표 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하지만 급하게 만든 이 규정은 리우올림픽을 앞두고 국내 법원,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등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모두 근거가 없다는 판결을 받아 처음부터 무리한 규정 강화였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결국, 박태환은 올림픽을 앞두고 법정 다툼에 힘을 뺀 탓인지 올림픽에서 전 종목 예선 탈락의 부진한 성적에 그쳤다.박태환이 지난달 전국체전 자유형 200m에서는 올림픽 기준으로 은메달에 해당하는 좋은 기록을 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아쉬운 대목이다.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어려운 환경에 있는 체육 인재들을 발굴해서 그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길 바란다"고 말했지만, 체육계에서는 "어려운 환경에 있는 체육 인재가 정유라냐"는 자조 섞인 한숨만 나오고 있다.디지털콘텐츠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전문] 연세대 공주전, ‘최순실 사건 정리’ 단박에…절묘한 패러디 ‘씁쓸’ㆍ대검찰청 청사에 포클레인 돌진 “최순실 죽는 것 도와주려고..”ㆍ연세대 `공주전`·고려대 `박공주헌정시` 최순실 풍자 "기가 막혀"ㆍ최순득 딸 장시호, `특혜 의혹` 발 빼기?… 이규혁 "저의가 뭔가"ㆍ최순실-린다김 친분, 무기 거래까지?.. 주진우 "폭탄은 여기서 터진다"ⓒ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