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처의 잇단 '헛발질'…국민은 불안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진·태풍 '늑장 대응'에 고속정 침몰 '은폐 의혹'까지…
야당 "철저 조사·책임자 문책…차라리 안전처 해체하라"
"거대 조직 됐지만 제 구실 못해…피해상황 집계 역할 그쳐" 비판
야당 "철저 조사·책임자 문책…차라리 안전처 해체하라"
"거대 조직 됐지만 제 구실 못해…피해상황 집계 역할 그쳐" 비판

올가을 한반도를 강타한 지진과 태풍 등 연이어 터진 재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서다. 지난 7일 불법 조업을 단속하던 해양경비안전본부(해경) 고속단정이 중국 어선에 들이받혀 침몰하는 사고가 난 직후 수습 과정에서 이를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졌다는 얘기마저 나온다.
ADVERTISEMENT
7일 오후 3시8분께 인천 옹진군 소청도 76㎞ 해상에서 불법 조업을 단속하던 인천해경 경비정 소속 4.5t급 고속단정 1척을 100t급 중국 어선이 고의로 들이받아 침몰시키는 사건이 발생했다. 안전처는 사건 발생 후 31시간이 지난 다음날 오후 10시20분이 돼서야 이런 사실을 공개했다. 안전처는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한 영상 분석 등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며 “사건을 은폐하려고 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안전처가 올가을 들어 연이어 터진 지진과 태풍 대응 과정에서 잇따른 ‘헛발질’로 국민 불안감만 높아졌다는 비판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ADVERTISEMENT
7일 국회 국정감사에선 야당 의원들이 “차라리 안전처를 해체하고 옛 소방방재청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연신 “시정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옛 안전행정부(현 행정자치부) 재난안전본부와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 등 세 개 조직이 합쳐져 ‘매머드급’ 조직으로 출범한 안전처가 사고 발생 때마다 혼선을 빚고 있다는 말도 흘러나온다.
ADVERTISEMENT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