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 2016] '로봇 교사'가 교실로…로봇 인재 2만명 키우는 네덜란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 4차 산업혁명 앞서가는 선진
국델프트공대 '로보밸리', 로봇연구소·스타트업 30곳 '둥지'
정부·기업이 1억유로 지원…초경량 자율주행 비행체 개발
"자기만의 로봇 만들어라"
프로팀이 유소년팀 운영하듯 일찌감치 인재·교육 투자
호기심 유도해 '고급 두뇌'로
국델프트공대 '로보밸리', 로봇연구소·스타트업 30곳 '둥지'
정부·기업이 1억유로 지원…초경량 자율주행 비행체 개발
"자기만의 로봇 만들어라"
프로팀이 유소년팀 운영하듯 일찌감치 인재·교육 투자
호기심 유도해 '고급 두뇌'로

◆로봇 허브 만든 네덜란드
ADVERTISEMENT
델프트공대는 MAV랩의 성공을 발판 삼아 좀 더 큰 규모의 계획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지난해 MAV랩처럼 로봇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연구소와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등을 한데 모아 ‘로보밸리’를 조성했다. 정부 지원금 외에 기업들로부터 돈을 걷어 1억유로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실탄’도 넉넉한 편이다.
덕분에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30곳의 연구소와 스타트업이 로보밸리에 둥지를 틀었다. 1㎝ 단위로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블루투스 모듈을 만드는 엘파나브, ‘아마존 잡기 로봇 경진대회’에서 우승한 델프트로보틱스, 닛산과 함께 ‘인간-기계 협력 자율주행차’를 제작하고 있는 햅틱스랩 등 뛰어난 역량을 가진 곳이 많다.
ADVERTISEMENT
![[글로벌 인재포럼 2016] '로봇 교사'가 교실로…로봇 인재 2만명 키우는 네덜란드](https://img.hankyung.com/photo/201609/AA.12443969.1.jpg)
인공지능 로봇의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네덜란드의 힘은 교육에서 나온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초·중·고교 단계에서부터 이공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교육 혁신을 단행한 게 효과를 냈다. 델프트 인근 도시인 스히담의 스테더라이크고등학교는 델프트공대가 보내 준 로봇 교사 ‘나오튜터’를 수업에 활용한다. ‘나만의 로봇을 개발해 보라’는 과제를 학생들에게 내줘 로봇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게 목적이다. 뛰어난 인재를 발굴해 집중적인 심화학습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판 덴 엔데 사무국장은 “유소년 축구팀을 운영하면 프로축구팀이 우수한 인재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장기 투자도 네덜란드의 성공 비결 중 하나다. 네덜란드를 비롯한 유럽은 오래전부터 로봇 분야 선두주자를 자임하며 투자하고 있다. 2014년에는 유럽연합(EU) 주도로 40억유로(약 5조원) 규모의 로봇공학 투자 프로젝트인 ‘SPARC’를 시작했다. 세계 최대 규모다. 로보밸리도 1억유로 규모로 조성하고 있는 로봇 투자 펀드에 EU 자금을 유치하려 하고 있다.
ADVERTISEMENT
미국은 구글 등 대형 정보기술(IT)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미국 정부도 2011년 첨단 제조업 육성책을 발표하면서 로봇산업 육성을 주요 목표로 제시했다.
그동안 로봇산업을 주도한 산업용 로봇 대신 개인용 로봇, 전문 서비스용 로봇 등으로 영역이 크게 넓어지는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한국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비(非)산업용 로봇 및 인간과 소통하고 인간을 직접 보조하는 종류의 로봇 분야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델프트(네덜란드)=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