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평택항, 중국 화물항로 확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5년째 한·중 항로확대 금지
수도권 화물도 부산항으로
인천시·해운업계
"기존 중소선사 운항 않는 원양항로라도 허용해야"
수도권 화물도 부산항으로
인천시·해운업계
"기존 중소선사 운항 않는 원양항로라도 허용해야"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평택지역 항만업계는 수도권 수출입 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15년째 항로 확대를 금지하고 있는 인천·평택과 중국 간 항로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ADVERTISEMENT
항권이 없는 선사는 한·중 항로에 환적화물 선적이 금지되고 항권이 있는 선사도 적취량을 650TEU(1TEU는 6m짜리 컨테이너 1개)로 제한받는다.

ADVERTISEMENT
기존 한·중 간 운항권이 없는 신규 선사는 한·중 취항과 한·중 간 환적화물 선적을 못하기 때문이다.
항로 규제로 기업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수도권 화주들은 인천항과 평택항의 한·중 항로 부족으로 부산항과 광양항을 이용해 수출화물을 선적한다. 부산항과 광양항은 한·중 항로편이 인천항·평택항보다 5배가량 많아 선사 간 경쟁이 치열해 운임비가 저렴하기 때문이다. 컨테이너(12m짜리) 1개당 인천항~상하이항은 500달러, 부산항~상하이항은 200달러다.
ADVERTISEMENT
항만업계는 “항로 규제가 풀리면 수출입 업체의 물류비 감소는 물론 수출 제품의 경쟁력도 높아질 것”이라며 “기존 선사들과 무관한 상하이항, 닝보항을 잇는 원양 항로만이라도 확대해달라”고 주장했다.
해양수산부는 인천·평택~중국 간 항로 개방에 부정적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항로 개방 시 중국 선사들이 저가 운임을 앞세워 덤핑하면 한국 선사들은 경쟁력을 잃어 국내 해운시장을 잠식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인천시와 인천·평택 항만업계는 다른 입장이다.
ADVERTISEMENT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