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입이냐"…등 돌리는 서울 사립대…위상 추락하는 대교협
전국 4년제 대학(203개)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1982년 설립 후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고려대 등 대형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회비 납부를 거부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대(對)정부 ‘쓴소리 창구’여야 할 대교협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각 대학에 따르면 서울 소재 사립대를 중심으로 대교협 회비 납부 거부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고려대가 지난해와 올해 연 7000만원가량의 회비를 내지 않은 데 이어 서강대, 이화여대도 올 회비를 아직 납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교협에 대한 비판이 잇따르면서 대체 조직까지 생겨났다. 지난해 서울총장포럼이 출범한 데 이어 지난달 초 서울 상위권 10개 사립대를 중심으로 미래대학포럼이 신설됐다. 한 대형 사립대 총장은 “대교협이 있으나 마나 한 조직으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내부 갈등도 커지고 있다. 교육부 지원을 받아야 생존할 수 있는 지방 중소 대학과 대학 교육 미래를 위해선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내야 한다는 서울 소재 대형 대학 간 골이 깊어지는 양상이다. 최근엔 서울의 한 대형 사립대 총장이 차기 대교협 회장직에 도전하려다 지방 사립대의 반발로 무산되기도 했다. A사립대 총장은 “대교협 회장직을 지방대가 독식하는 걸 보다 못해 나선 것인데 지방대 총장들이 추대가 아니라 선출로 뽑자고 하는 바람에 출마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대교협이 비판의 도마에 오른 것은 정체성 혼란에 빠졌기 때문이라는 게 대학가의 지적이다. 대교협은 ‘대학교육의 자주성과 공공성을 높이려는 목적’(제1조)으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법에 따라 설립됐다. 대학의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자는 취지로 출범했다. 하지만 현재 대교협의 최대 사업은 ‘교육부 대행’이다. 지난해 수입(1452억원) 중 회원사 회비는 47억원뿐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교육부에서 지원받은 돈이다.

교육부 의존도가 커지자 대교협 회장 선출 관행에도 변화가 생겼다. 16대까지만 해도 지방대 총장은 단 4명뿐이었지만 17대부터 현 22대까지 6명 중 5명이 지방대 총장 출신이다. 대교협 살림을 도맡아 하는 핵심보직인 사무총장직은 관료 출신이 차지한 지 오래다. 지난해 8월에 선임된 전찬환 사무총장(12대)은 교육부 재정기획관 출신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교협 사무총장직은 퇴임 후 지방대 총장이나 교육부 산하 기관의 장으로 가는 지름길로 통한다”며 “교육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동휘/임기훈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