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업계 ‘강자’로 꼽히는 더제이자산운용이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진출한다.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액티브 ETF 시장에서 개인투자자 자금을 끌어모으겠다는 취지다.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더제이자산운용은 이르면 오는 6월 액티브 ETF 상장을 목표로 한국거래소와 협의하고 있다. 첫 상품은 국내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ETF가 될 전망이다. 더제이자산운용이 국내 주식 투자에 강점을 갖춘 데다 기존 ETF 가운데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상품이 적어 차별화에 유리하다는 점을 노렸다. ETF 브랜드명은 ‘THEJ’로 정했다.더제이자산운용은 운용 규모가 3조7000억원에 달한다. 주로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를 운용한다. 연기금, 공제회 등 기관 자금과 고액 자산가를 중심으로 한 사모펀드를 주로 굴린다. 2022년에는 공모 운용사 라이선스를 취득해 이듬해 ‘더제이 더행복코리아펀드’를 내놨다. 에셋플러스자산운용에서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지낸 최광욱 대표가 이끄는 국내 대표 가치투자 운용사로 꼽힌다.더제이자산운용이 액티브 ETF 시장에 뛰어든 건 개인투자자 자금을 모으기 위해서다. 최근 액티브 ETF 시장은 빠르게 몸집을 불리고 있다. 타임폴리오, 삼성액티브, 에셋플러스 등 액티브 자산운용사 상품이 패시브 대비 높은 성과를 거두면서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중소형 운용사들도 액티브 ETF 시장으로 진출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나수지 기자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1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진양화학은 가격제한폭(-29.99%)까지 떨어졌다. 진양산업은 29.19% 폭락했고 진양폴리는 23.06% 하락했다. 모기업 진양홀딩스의 양준영 부회장이 오세훈 서울시장과 고려대 동문이라는 이유로 ‘오세훈 관련주’로 분류된 종목이다. 오 시장이 조기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자 직격탄을 맞았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관련주는 급등했다. 첫 행보로 퓨리오사AI를 방문하자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가 상한가로 마감했다. 두 벤처캐피털(VC)은 퓨리오사AI 설립 초기부터 투자해 적지 않은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한신 기자
“장기 투자할 수 있는 가치주를 엄선한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내놓겠습니다.”취임 1년을 맞은 엄준흠 신영자산운용 사장(사진)은 14일 “ETF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가치투자 명가’로 유명했던 신영자산운용은 공모펀드 시장이 쪼그라들고 성장주 중심 장세가 이어지며 어려움을 겪어왔다. 5년 전만 해도 신영밸류고배당, 신영마라톤 등 ‘스타 펀드’를 중심으로 14조원에 달했던 운용자산(AUM)은 현재 4조5000억원 수준이다.엄 사장은 “공모펀드 시장이 줄긴 했지만 좋은 자산에 장기 투자해야 한다는 투자의 본질은 바뀌지 않는다”며 “유행에 편승해 상품을 출시하기보다 고객 신뢰라는 가치를 지킬 수 있는 질 좋은 상품을 내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다만 주식형 공모펀드에만 집중하기보다 다양한 상품으로 투자 영역을 넓히겠다는 게 엄 사장의 구상이다. 그는 작년 취임 직후 채권형 라인업을 강화했다. 그 결과 머니마켓펀드(MMF) 순자산이 1년 만에 400억원에서 1조원대로 급증했다. 엄 사장은 “채권 법인영업본부를 신설하고 인력을 확충하는 등 액티브 채권펀드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지난해 11월에는 성장주와 가치주 전략을 섞은 ‘신영밸류그로스집중투자’를 선보였다. 기존 펀드보다 투자 종목을 압축하고, 성과보수 제도를 도입해 책임운용을 강화한 게 특징이다. 그는 “이 펀드 설계와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액티브 ETF를 구상하고 있다”며 “퇴직연금 등 장기 투자자가 믿을 수 있는 상품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주식과 채권 시장에 대해선 보수적으로 전망했다. 엄 사장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