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신공항 '제3의 선택'] 김해공항 확장 '수익자 부담원칙' 적용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부 교수의 제언
지자체가 공항 건설·운영
정부는 교통 인프라 지원
미국·유럽 등 사례 참고해야
지자체가 공항 건설·운영
정부는 교통 인프라 지원
미국·유럽 등 사례 참고해야
![[영남권 신공항 '제3의 선택'] 김해공항 확장 '수익자 부담원칙' 적용을](https://img.hankyung.com/photo/201606/AA.11874286.1.jpg)
사업 성패가 달린 항공 수요를 다시 예측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항공 수요 예측 결과를 발표하면서 장기적으로 지역 수요가 충분한 것처럼 해석했다. 당시 추정한 영남지역 여객 수요를 확장된 김해공항이 모두 흡수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ADVERTISEMENT
김해공항 확장 공사에는 ‘수익자 부담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 공항 확장의 수혜자인 지역사회가 투자에 참여하고, 투자한 만큼 수익과 손실도 공유하는 방식이다.
도로나 철도와 달리 항공 교통의 중심 기반은 공항이다. 공항은 산업 초기부터 정부가 건설과 운영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연간 항공 여객 1억명 시대를 앞둔 항공 교통의 대중화 시대를 맞았다. 이제는 공항 건설과 운영 체계도 선진화할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공항 운영권을 지자체에 위임하면 경영의 자율성과 경쟁력이 높아져 공항 건설뿐 아니라 운영 효율화를 촉진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는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는 국책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영남권 신공항을 짓는 게 아니라 기존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으로 결론이 난 만큼 이제는 정치 논리가 아니라 경제 논리로 접근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