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내수진작엔 역부족인 금리인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형적인 유동성 함정에 빠진 경제
저금리에 부동산 자극, 소비는 위축
경기하방 위험 제어효과 미미할 것
안동현 < 자본시장연구원장 >
저금리에 부동산 자극, 소비는 위축
경기하방 위험 제어효과 미미할 것
안동현 < 자본시장연구원장 >
![[다산칼럼] 내수진작엔 역부족인 금리인하](https://img.hankyung.com/photo/201606/AA.11808918.1.jpg)
그런데 한은은 전날 ‘국책은행 자본확충펀드’에 10조원을 출연한다고 했다. 한은이 기업은행에 대출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궁극적으로는 펀드를 통해 수출입은행 및 산업은행이 발행하는 코코본드를 자본확충펀드가 매입하기 때문에 간접적인 출자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한은은 수량변수인 자본확충펀드 대출과 가격변수인 금리 인하를 통해 전방위적으로 통화완화 정책을 추구하게 됐다.
ADVERTISEMENT
그런데 두 정책의 효과는 차이가 있다. 자본확충펀드 대출은 시간이 지나면 결국 구조조정 대상 산업에서 시중에 흘러들어가 유동성을 일정 부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부분적이긴 하지만 경기부양효과가 있다. 그러나 구조조정 목적 아래 특정 산업에 특정 목적으로 자금이 투입되는 장점이 있다. 부작용은 ‘인플레이션 세금’과 한은의 손실 가능성이다.
반면 금리 인하는 시중의 유동성을 높이는 전형적인 경기부양책이다. 이 역시 부작용이 있다. 한국 경제 상황에서는 해외 자본 유출, 가계부채 증가와 전셋값 폭등, 은행과 보험회사의 수익 악화 및 역시 인플레이션 세금을 들 수 있다.
ADVERTISEMENT
수출과 설비투자는 계속 하락하고 있다. 내수가 어느 정도 버텨주고 있지만 추세적 회복세라고는 말할 수 없다. 금리를 내려도 수출과 설비투자 부분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수출은 글로벌 교역량 증가가 전제조건이고 점점 보호무역주의 장벽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망이 불투명하다. 설비투자 역시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회피하는 차원에서 망설이는 것이지 자금조달비용이 높아서가 아니다.
결국 금리 인하는 가계대출 증가를 통해 부동산시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농후하다. 금융위원회가 작년 이후 안심전환대출과 대출자격조건을 엄격히 하는 미시적 정책으로 맞대응하고 있지만 금리 인하라는 파고를 막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가계부채가 늘어날수록 결국 부채를 안고 있는 가계가 늘어나면서 소비는 오히려 위축될 수 있다. 더불어 이미 작년부터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시작됐다. 이들은 연령별 자산 보유에서 가장 순자산 가치가 높은 세대이지만 대부분 이자로 생활하고 있다. 물론 금융위가 주택연금을 통해 이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금리 인하는 궁극적으로 이들의 소비 성향을 감소시킬 것이다. 전체적으로 판단하면 금리 인하가 내수를 진작시킨다고 확신할 수 없다. 즉, 전형적 유동성 함정에 빠진 상황이다.
ADVERTISEMENT
안동현 < 자본시장연구원장 ahnd@snu.ac.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