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고 싶지만 쉴 수 없는 老年··75세 이상 고용률, OECD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의 노년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연금 제도 미비로 은퇴 후 일을 해야 하는 처지에 몰린 고령층이 많기 때문이다.3일 OECD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31.3%로, 34개 회원국 중 아이슬란드(36.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OECD 평균인 13.4%보다는무려 2.3배에 달했다.특히 75세 이상 고용률은 19.2%로, 비교 가능한 24개국 중 가장 높았다.<연합뉴스 DB>OECD 평균은 4.8%로 한국의 4분의 1 수준이었다.주요국과 비교하면 한국 고령층의 고용률 수준이 두드러진다.65세 이상의 경우 일본은 20.8%, 영국은 10.0% 수준이었고 독일(5.8%), 프랑스(2.3%)는 한 자리대였다.75세 이상 고용률을 보면 일본 8.2%, 영국 2.6%였고 프랑스는 0.4%에 불과했다.한국 외에 75세 이상 고용률이 두자릿수인 곳은 2위인 멕시코(15.7%)뿐이었다.전문가들은 노후 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고령층이 나이가 들어도 일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쳤기 때문이라고 이 현상을 정리했다.문제는 고령층의 일자리 질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점으로 고령층이 돼서도 자신의 전문 분야를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의 최고경영자(CEO)나 일부 자영업자뿐이고 대부분은 경비 등 이전에 해본 적 없는 일이나 근로여건이 좋지 않고 박봉을 받는 임시직 밖에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당연히 이 때문에 일을 하더라도 빈곤을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2014년 기준 한국 노인의 빈곤율은 47.2%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조성호 ‘충격 살인’ 범행 동기 마침내 밝혀져...그 수위는 ‘충격적’ㆍ‘해피투게더’ 전소미 동생 에블린, 인형 뺨치는 깜찍 외모 ‘유전자의 힘’ㆍ북한 女승무원 미모 화제...‘부드럽고 온화한’ 아름다움 시선집중ㆍ노예 계약 ‘안하면 손해’...YG ‘은지원 노예’로 전락해도 세련미 짱ㆍ배우 정진 별세 "병상서도 연극 준비, 아들로서 찡하고 감동"ⓒ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