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 자율주행' 벤츠 E클래스, 갑자기 사람 튀어나오면 급제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형 E클래스 타보니…세계 첫 자율주행 실험 면허 획득
30분 걸리던 주차, 3분 만에 끝
고속도로선 앞차와 일정거리 유지
현대車·한국닛산 등도 도입
30분 걸리던 주차, 3분 만에 끝
고속도로선 앞차와 일정거리 유지
현대車·한국닛산 등도 도입

신형 E클래스, 알아서 충돌 회피
ADVERTISEMENT
이날 E클래스는 최초로 면허를 획득한 차답게 ‘부분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대거 보여줬다. 벤츠코리아는 이날 교차로에서 다른 차량이 갑자기 진입했을 때,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순식간에 뛰어드는 상황 등을 설정했다.
시속 50㎞로 E클래스를 주행했다. 교차로에서 갑자기 다른 차가 진입하자 전방 15m가량 떨어진 곳에서 경적을 울린다.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는 스스로 제동을 걸어 멈췄다.
ADVERTISEMENT
이 밖에 E클래스는 고속도로는 물론 시내 운전에서도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달리는 ‘드라이브 파일럿’, 추돌을 피해 스티어링휠을 돌릴 경우 작동이 더 빨리 되도록 도와주는 ‘충돌 회피 조향 어시스트’ 기능을 갖췄다. 차로를 이탈하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능동형 사각지대 어시스트’, 자동 주차를 가능하게 하는 ‘파킹 파일럿’ 기능도 있다.
부분 자율주행 기술 성큼
ADVERTISEMENT
한국닛산이 지난 4월 출시한 신형 알티마가 자랑하는 기능은 ‘인텔리전트 크루즈 컨트롤(ICC)’이다. 교통 흐름에 따라 엔진 출력을 조정해 차량 스스로 속도를 제어한다. 전방 레이더 센서로 앞차를 감지해 거리도 유지한다. 커브 길에서 핸들 조작도 시스템이 자동 제어한다.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신차를 중심으로 부분 자율주행 기술인 ‘파일럿 어시스트’ 기능을 도입했다. 시속 130㎞ 이하 속도에서는 전방에 차량이 없어도 차로를 유지해 달릴 수 있게 한다. 앞차를 감지해 따라가는 기존 기술에서 진일보했다. 볼보는 내달 판매를 시작하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90’, 하반기 출시 예정인 대형 세단 ‘S90’ 등에 파일럿 어시스트를 적용한다.
ADVERTISEMENT
최근 양산차에 적용되는 운전자 보조 장치들이 완벽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날 경험한 E클래스는 간간이 기술 시연에 실패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장에 있던 벤츠코리아 관계자는 “차량에 장착된 레이더가 오작동할 수 있다”며 “이번 행사를 위한 시연 20번 중 한 번 정도는 실패했다”고 말했다. 이어 “주행지원 보조 기술은 어디까지나 운전자를 보조하는 기능”이라며 “최종적인 교통사고의 책임은 운전자에게 있다”고 덧붙였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