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회사 지휘 받으면 채권추심원도 근로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도급계약이라도 회사의 지휘 받으면 근로자"
학원강사 등 특수직 종사자 잇따라 근로자로 인정
기업, 퇴직금·시간외수당 등 인건비 부담 가중
학원강사 등 특수직 종사자 잇따라 근로자로 인정
기업, 퇴직금·시간외수당 등 인건비 부담 가중

대법원 3부(주심 박병대 대법관)는 채권추심회사인 중앙신용정보 전 직원 김모씨 등 세 명이 회사를 상대로 낸 퇴직금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채권추심원의 근로자 성격을 부인한 원심을 깨고 원고 승소 취지로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으로 돌려보냈다고 21일 밝혔다.
ADVERTISEMENT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되면 임금, 퇴직금, 시간외수당을 비롯한 근로조건에서 최저한도 이상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해당 근로자들이 퇴직금, 4대 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시간외수당 등을 받을 근거가 생기기 때문에 기업 부담이 늘어난다.
법원은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했는지 여부’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판단의 가장 중요한 잣대로 본다. 사용자가 상당한 지휘·감독을 하는지, 사용자가 근무시간과 장소를 지정하고 근로 제공자가 여기에 구속받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따진다. 계약 형태가 고용계약인지, 도급계약인지, 위임계약인지는 부차적인 요소다. 예전에는 고정급을 받았는지 여부도 중요 요소로 고려했지만 최근에는 계약 건별로 보수를 받아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받는 추세다.
ADVERTISEMENT
대법원은 2014년 12월 위탁계약을 맺고 일하는 전기 검침원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기 때문에 퇴직금을 줘야 한다고 처음 판결했다. 이 판결에 따라 1만여명으로 추정되는 전력·수도·가스 검침원 등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받았다.
로펌 소속 변호사, 대학교 시간강사, 대입학원 담임강사, 미용학원 강사 등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받고 있다. 신문판매 확장요원, 방송사 소속 관현악단 단원, 수영장 전속 운전기사, 방송사 드라마제작국 외부제작요원, 오토바이를 소유한 퀵서비스 택배종사자 등도 근로자로 인정받고 있다.
ADVERTISEMENT
김인선 기자 indd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