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멸종 위기 구상나무 복원 나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멸종위기에 있는 구상나무를 살리기 위해 관련 유전자원 보존을 위한 복원 기반 조성에 나선다고 14일 발표했다.
구상나무는 전 세계에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대표 침엽수로, 현재 지리산·한라산·덕유산 등 백두대간 지역을 중심으로 해발 1000m 이상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2012년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집단 고사(枯死)가 이어지는 등 보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 권고하는 생태적 복원, 산림지속성 지수 이행을 위해 지리산 지역 구상나무를 대상으로 유전다양성 분석과 시기별 구상나무 활력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유전다양성 분석 결과 지리산 반야봉·벽소령·천왕봉은 지역 간 유전변이 차이가 거의 없는(약 0.1%) 것으로 나타나 최근 고사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반야봉 구상나무 복원에 벽소령과 천왕봉 개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또 실생묘(實生苗·씨모)를 이용한 복원용 묘목을 키우고 있다.
지리산 지역 개체 종자를 이용해 실생묘를 양묘(養苗·모기르기)했고 현재 경남산림환경연구원과 공동으로 2000그루의 어린모를 재배하고 있다.
앞으로 지리산 성목과의 유전변이 분석을 통해 지역 고유의 유전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를 선정·복원에 활용할 방침이다.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구상나무림 연구협의회와 백두대간 연구협의회를 구성해 우리나라의 특산수종이면서 멸종위기에 처한 구상나무를 지키기 위해 효율적인 구상나무 보존·복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구상나무는 전 세계에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대표 침엽수로, 현재 지리산·한라산·덕유산 등 백두대간 지역을 중심으로 해발 1000m 이상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ADVERTISEMENT
국립산림과학원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 권고하는 생태적 복원, 산림지속성 지수 이행을 위해 지리산 지역 구상나무를 대상으로 유전다양성 분석과 시기별 구상나무 활력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유전다양성 분석 결과 지리산 반야봉·벽소령·천왕봉은 지역 간 유전변이 차이가 거의 없는(약 0.1%) 것으로 나타나 최근 고사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반야봉 구상나무 복원에 벽소령과 천왕봉 개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지리산 지역 개체 종자를 이용해 실생묘를 양묘(養苗·모기르기)했고 현재 경남산림환경연구원과 공동으로 2000그루의 어린모를 재배하고 있다.
앞으로 지리산 성목과의 유전변이 분석을 통해 지역 고유의 유전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를 선정·복원에 활용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