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증권업종(KRX증권지수)이 4.8% 상승하며 코스피지수 오름폭(3.4%) 대비 강세를 보인 가운데, 앞으로도 상대적 강세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시장 환경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 증권업종도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부담요인도 있다는 분석이다. 2일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증권주는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확대된 불확실성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 부진했던 코스피 대비 강세였다"며 "그 근거는 넥스트레이드 출범과 해외주식 투자자 증가에 따른 브로커리지(Brokerage) 영업 기반 확대, 발행어음·IMA 등 수신기반 확대를 통한 IB 및 트레이딩 손익 확대 기대감 등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했다.강 연구원은 증권산업에 대해 투자의견 'Positive'(시장수익률 상회)와 금융업종 내 최선호 업종 의견을 유지했다.넥스트레이드 거래종목 확대가 마무리되면서 2분기 거래대금 증가 효과가 반영될 것인 데다, 당초 기대보다는 지연되고 있지만 발행어음·IMA 인가 기준 개정이 완료될 시 추가적 라이선스 확보를 통해 증권업종의 수신기반이 넓혀질 전망이어서다. 이는 곧 IB와 트레이딩 손익 증가 기대감이 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다만 부담 요인도 있다.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과 구분해서 보기 어려운 업종 특성 때문이다.강 연구원은 "브로커리지 수익의 안정성이 과거 대비 확대된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 환경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 증권업종 역시 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짚었다.다만 "하방경직성에 대한 기대감이 발동될 수 있는 지수대에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증권업종의 상대적 강세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며 &
신한투자증권은 2일 이마트에 대해 오프라인 사업 통합 시너지와 본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실적 개선세가 올해부터 가시화될 전망이라며 투자의견을 기존 트레이딩바이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는 6만7000원에서 10만원으로 각각 올렸다.이마트는 1분기 매출 7조2300억원, 영업이익 1358억원의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신한투자증권은 추정했다. 영업이익 추정치는 현재 집계된 컨센서스(1103억원)보다 23.11% 많은 수준이다.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G마켓에 대한 PPA 상각비 제거를 감안해도 시장 기대를 웃e돌 것”이라며 “내수 소비 침체 속에 외형 성장은 아쉽지만, 전반적인경쟁 완화로 별도와 자회사 모두 호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특히 별도 기준 실적에서 매출은 부진하지만, 매출총이익률이 전년 동기 대비 0.2%포인트, 판관비율이 0.1%포인트 각각 개선되는 게 주목됐다. 이 효과로 영업이익도 22% 가량 증가할 전망이다.조 연구원은 “본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구조적인 실적 개선과 자기자본수익률(ROE) 상승이 기대된다”고 말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상호관세 발표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습니다. 미 동부시간 2일 오후 4시(한국 시간 3일 새벽 5시)에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발표가 이뤄집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내용을 발표할지 결정했다고는 하지만, 내용은 여전히 미스터리입니다. 불확실성에 지친 투자자들은 내일 발표가 '관세 불확실성의 정점'을 찍는 이벤트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1일 뉴욕 증시가 소폭이지만 반등한 이유입니다. 1. 아직도 보편관세(20%)가 옵션?아침 9시 30분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는 0.4% 안팎의 하락세로 출발했습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계획을 "결정했다"라고 했지만, 여전히 계획은 유동적이라는 보도가 이어졌습니다. 워싱턴포스트, 폭스뉴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몇 가지 옵션이 대통령 책상에 올라갔으며,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부분 수입품에 적어도 20% 정도 관세를 부과하는 제안도 그중의 하나로 올라갔다고 썼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매우 친절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상당히 낮을 수도 있다"(we are going to be nice very. In some cases maybe substantially lower)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얼마나 친절하고 관대할까요?월가는 상호관세율을 대략 10% 수준으로 예상합니다. 10%만 해도 대공황을 가속한 것으로 악명 높은 1930년 스무트-홀리법에 따른 관세보다 더 높을 수 있습니다. 1929년 모든 수입품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3.5%였는데, 스무트-홀리법으로 1933년에는 19.8%까지 높아졌었죠. 그때도 전체 수입품의 63%는 비관세 품목이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주말 "모든 교역국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