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4·13 총선 후보들이 오는 31일부터 시작되는 공식 선거운동을 나흘 앞두고 초조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가 펼쳐진 가운데 중앙당 차원의 연대 논의는 물론 개별 후보간 단일화도 별 진척이 없기 때문이다.

2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20대 총선 후보자 명부에 따르면 전국 253개 선거구 중 수도권 105곳을 포함해 총 178곳에서 일여다야 구도가 이뤄졌다. 이 중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3개 정당이 동시에 격돌하는 선거구는 43곳, 그 중 24곳이 수도권이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막상 후보등록이 시작되면 경쟁력이 약한 후보들이 등록을 포기하면서 자연스럽게 단일화가 성사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그러나 더민주와 정의당이 단일화를 성사시킨 인천에서 양당 후보가 각각 12명과 7명에서 11명과 2명으로 줄었을 뿐 후보들이 무더기로 자진 사퇴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

제1야당의 프리미엄 등을 이유로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더민주 후보들은 연일 단일화를 촉구하고 있지만, 정당 득표율을 위해 한 명이라도 더 출마해야 하는 국민의당과 정의당이 오히려 후보간 개별 협상을 단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국민의당은 후보 등록 마지막 날인 지난 25일 등록률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자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후보자가 당과 협의 없이 임의로 단일화를 할 경우 제명을 포함해 정치권에서 퇴출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정의당도 더민주가 심상정 대표와 정진후 원내대표의 지역구에 공천한 이후 개별 협상을 금지하고 선거 완주를 지시한 바 있다.

선거운동 시작 전까지 단일화를 하지 못할 경우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4월 4일이 실질적인 마지노선이 된다. 이후에는 투표용지에 후보자 '사퇴'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화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