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좀 듣고 사려는데 벌써 주문 불가냐."LG전자의 대표 히트작으로 꼽히는 이동형 무선 스크린 'LG 스탠바이미' 신작 출시 전 진행된 라이브방송에서 회사가 준비한 물량이 완판되자 시청자들 불만이 쏟아졌다. LG전자는 지난 2월 초 진행된 라이브 당시 초도 물량을 1000대 이상 준비했지만 38분 만에 동이 났다. 최대 동시 접속자 수는 40만명에 육박했다. 배우 이이경이 나와 스탠바이미2 제품 특성 등을 설명하면서 시청자들을 불러모았다. 5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스탠바이미2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회사는 전날 스탠바이미2 TV 광고 3종을 공개하기도 했다. 광고 모두 30~40초 길이로 여러 상황에서 스탠바이미2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한 광고는 노부부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남편은 거실에서 TV를 보고 부인은 방에서 스탠바이미2로 서로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감상하는 장면이 이어진다. 화면부를 지지대와 분리해 테라스에서 함께 체스를 즐기거나 턴테이블 모드로 전환해 노래를 들으면서 춤을 추기도 한다. 또 다른 영상에선 두 남녀가 태블릿PC 커버처럼 생긴 전용 거치대를 이용해 스탠바이미2를 세워둔 채 보트에서 데이트를 즐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패션 디자이너가 스탠바이미2의 터치펜으로 드로잉 작업을 하고 화면부를 분리한 다음 상사의 집무실로 가져가 이를 검토하는 장면도 담았다.스탠바이미2는 전작 인기에 힘입어 후속작을 희망하는 소비자 요구를 반영했다. 화질을 개선하고 사용시간을 한층 더 늘린 것이다. 이 제품은 27형 QHD(2560X1440) 해상도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FHD 디스플레이를 갖춘 기존 제품보다
삼성전자가 최근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무풍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제어해 최적의 냉방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했다. 삼성전자 인도 법인이 이 기능을 가장 먼저 출시한 데 이어 한국 등 전 지역에서 지원되고 있다. 무풍에어컨은 해외에서 해마다 판매량이 증가하는 만큼 이번 신규 기능으로 성장폭을 확대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 상황이다.5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회사는 이달 초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맞춤 냉방 기능'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인 '스마트싱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이 기능을 출시한 것. 스마트싱스와 호환되는 삼성전자 비스포크 무풍에어컨·선풍기가 있다면 사용 가능하다.맞춤 냉방 기능은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AI가 에어컨과 선풍기를 알아서 조절해 최적의 냉방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에어컨·선풍기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아도 AI가 밤새 알맞는 냉방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다. 예컨대 방이 추워지면 에어컨 풍량을 줄이거나 온도를 높이는 대신 선풍기를 통해 공기 순환을 유지한다. 반대로 온도가 오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AI가 같은 방식으로 냉방을 조절한다. 선풍기도 함께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냉방 효율이 향상됐다는 설명이다. 이 기능은 당초 인도 시장을 겨냥한 기능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인도 법인이 조사한 결과 인도 가정 2곳 중 1곳은 밤새 에어컨과 선풍기를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을 자다가도 중간에 일어나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수시로 껐다 켜는 가구가 적지 않다는 조사 결과다. 삼성전자는 무더위로 에어컨·선풍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인도 소비자들을
세계 식량 가격지수가 3개월째 오르고 있다. 유지류는 전달보다 약 4% 상승했다.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 식량 가격지수가 127.1로 전달보다 0.2% 올랐다고 밝혔다.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로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했다.품목군별로 보면 유지류 가격지수는 161.8로, 전달보다 3.7% 상승했다. 1년 전(130.6)과 비교하면 23.9% 높다.팜유는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이 계절적으로 저점을 기록해 가격이 올랐다. 대두유는 국제 수입 수요가 늘어 가격이 올랐고 유채유와 해바라기유는 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가 맞물려 가격이 상승했다.육류 가격 지수는 0.9% 오른 118.0이다. 영국의 독일산 돼지고기 수입 금지 해제 조치로 국제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했고 소고기도 가격이 올랐다. 가금육 가격은 안정적이다.반면 곡물 가격지수는 2.6% 내린 109.7이다. 밀의 경우 북반구 주요 수출국에서 작황 우려가 해소됐고 무역 긴장 고조로 시장 심리가 위축해 가격이 내렸다. 그러나 러시아의 공급 압박과 튀르키예의 밀 수입 할당량 폐지, 환율 변동으로 가격 하락 폭은 크지 않았다.옥수수는 브라질의 작황 개선과 아르헨티나의 수확 시작, 중국의 수입 수요 약화 등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쌀은 수입 수요가 줄고 수출 가능 물량이 늘어 값이 내렸다.설탕 가격지수는 116.9로, 1.4% 하락했다. 국제 수요가 약화했고 브라질 남부의 주요 사탕수수 재배 지역에서 가뭄이 해소돼 가격이 내렸다.그러나 인도에서 생산 전망이 악화했고 브라질에서도 사탕수수 수확 전망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하락 폭은 크지 않았다.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