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기업들, 빚 돌려막기로 하루하루 힘든데…"원자재 보상은 왜 안 해주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에서
개성공단 폐쇄 한 달째
안재광 중소기업부 기자 ahnjk@hankyung.com
개성공단 폐쇄 한 달째
안재광 중소기업부 기자 ahnjk@hankyung.com

개성공단에서 양말과 여성용 레깅스를 제조하던 A사 사장은 말일이 오는 게 두렵다. 구입한 원자재 값을 치러야 하는데 현금이 충분하지 않아서다.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10여곳의 바이어 중 절반가량이 지난달 말 결제를 하지 않았다. 제공한 원자재가 임가공비보다 많다는 게 이유였다. A사는 개성에 50억원어치의 원·부자재를 남겨두고 빠져나왔다.
ADVERTISEMENT
10일이면 ‘개성공단 사태’ 한 달째를 맞는다. 이곳에서 제품을 생산하던 123개 기업 상당수가 고객사와 대금 결제를 두고 ‘승강이’를 벌이는 중이다. 바이어로부터 받아야 할 돈이 재료비보다 훨씬 큰데도 결제를 해주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부족한 자금은 은행에서 대출받아 충당하는 수밖에 없다.
정부는 피해 업체를 상대로 저리 특별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결국 갚아야 하는 돈이다. 경협보험에 들었다고 해도 원·부자재는 보상해주지 않는다. 개성공단 기업이 모두 감당할 수밖에 없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가동 중단으로 인한 재고자산 피해만 2464억원으로 추산했다. 이 금액 중 일부라도 정부에서 대출이 아닌 ‘보상’을 해달라는 게 이들 기업의 요구사항이다. 다른 개성공단 기업인도 “개성공단에 두고 온 원·부자재를 왜 우리가 전부 책임져야 하는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ADVERTISEMENT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