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 다니면서 부업으로 월급 못지않은 돈을 벌 수 있다면? 회사에선 상사의 호통 소리에 기를 못 펴지만, 퇴근한 뒤에 내가 좋아하는 일을 신나게 할 수 있다면?

직장 생활과 부업을 함께 해나가는 ‘투잡’은 상당수 직장인의 ‘로망’이다. 하지만 시간적인 제약으로 막상 투잡을 실행에 옮기는 직장인은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소문이 나면 회사에서 받게 될 따가운 눈초리도 걸림돌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여러 가지 제약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투잡전선’에 뛰어드는 샐러리맨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1~2년 새 부쩍 늘어난 구조조정으로 인해 언제 회사를 나가게 돼도 이상하지 않은 환경이 조성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구조조정의 주요 ‘타깃’이라고 할 수 있는 부장급 이상 간부사원은 물론 20~30대 직장인도 회사에 대한 로열티가 많이 사라졌다.

최근에는 일부 정보기술(IT) 기업을 중심으로 오히려 투잡을 장려하는 곳도 나타나고 있다. ‘자신의 미래를 회사에 맡겨두지 말라’는 미국 실리콘밸리식 기업문화가 영향을 미쳤다.
[金과장&李대리] "구조조정 언제 닥칠지 모르는데…내 미래, 회사에만 맡겨둘 순 없죠"
셰어하우스·과외…부업 뛰는 직장인들

시공능력 ‘빅5’에 들어가는 대형 건설사 재건축 관련 부서에서 근무하는 김 대리(34). 그는 요즘 서울 홍익대 주변에서 외국인 대상의 셰어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다. 주로 한 번 들어오면 2~3개월 정도 머무는 장기 숙박자를 받고 있다.

김 대리는 평소 근무를 하면서 알게 된 부동산 부자들을 통해 외국인 대상 셰어하우스의 높은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자주 접했다. 셰어하우스 운영에 관심만 갖고 있던 김 대리는 최근 1~2년 새 사내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셰어하우스 운영을 시작해보자’는 결심을 하게 됐다.

그는 직장 생활을 하면서 습득한 경매지식 등을 활용해 건물과 대지 소유주가 각각 따로 있는 방 세 개짜리 빌라 한 가구(건물분)를 8000만원에 매입, 지금은 월 200만원대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연으로 따지면 30%의 수익률이다.

“사업을 하다가 한 방에 무너진 사람들을 많이 봐 왔기 때문에 웬만하면 직장 생활에 집중하려고 했어요. 그런데 회사가 어수선해져 버렸죠. 사람 일이 바라는 대로 되는 건 아니잖아요. 든든한 버팀목을 하나 마련해뒀다고 생각해요.”

‘살림살이에 조금이라도 보태보자’는 마음으로 시작했던 부업의 수익이 직장에서 받는 월급만큼 커져 버린 직장인도 있다. 한 대기업에 다니는 권 대리(32)는 최근 경기 분당에 있는 82㎡짜리 아파트 한 채를 구입했다.

대학시절부터 시작된 ‘세입자 인생’도 끝났다. 집안환경이 넉넉지 못한 그가 30대 초반에 집을 살 수 있었던 건 회사 사람들에겐 비밀인 부업 덕분이었다. 그는 서울 대치동 일대에서 꽤나 입소문이 난 과외 선생님이다. 입사 후 7년 동안 평일에는 회사원, 주말에는 과외 선생님으로 ‘이중생활’을 하고 있다.

권 대리는 주말마다 하루에 2~3시간씩, 총 네 건의 과외 수업을 한다. 수업 하나당 2~4명의 학생으로 이뤄진 그룹 과외다. 한 달에 과외로 버는 돈만 300만원이 넘는다. 권 대리는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집안에 빚이 많았다. 대학 4년간 내내 받았던 학자금, 생활자금 대출 등 그가 직접 갚아야 할 빚도 적지 않았다. 회사 월급만으로 언제 갚겠나 싶어 과외를 꾸준히 이어왔다.

그랬던 그가 지금은 과외 때문에 회사를 그만두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 전문 과외 선생으로 나서거나 학원을 차리는 등 사교육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위해서다. “대기업 샐러리맨 생활을 오래할 수 없을 것 같아서 과외 수업을 본업으로 바꾸는 방안을 고민 중입니다. 과외 수업도 40세가 넘으면 벌이가 줄어든다던데, 어차피 직장 생활을 계속하더라도 그때쯤 되면 구조조정 압력을 심하게 받을 것 같아요.”

“얌체라고 불러도 포기 못해”

기업 입장에선 부업에 지나치게 몰두한 나머지 회사 일을 소홀히 하는 조직원이 못마땅하다. 외국계 IT 회사 영업부에서 일하는 이모 차장(39)은 술집 두 곳을 운영하는 사장님이다.

이 차장은 이 회사에 근무하던 5년 전 서울 이촌동에서 친구들과 공동 투자해 일본식 선술집을 차렸다. 외국계 회사라는 특성 때문에 술자리가 적어 밤 시간을 활용할 수 있었다.

이 선술집이 입소문을 타고 장사가 잘 되자 그는 선술집이 있는 건물 위층에 와인바도 창업했다. 가게 두 개를 운영하다 보니 회사 일은 뒷전이다.

이 차장은 이제 회사에서 대표적인 ‘저(低)성과자’로 분류된다. 주변의 눈치가 따갑지만 회사를 그만둘 생각은 전혀 없다. 그는 “가게는 경기 탓에 한순간에 어려워질 수 있으니 회사에 가능한 한 붙어 있으려고 한다”며 “회사 분위기가 흐려질 수 있지만, 일단 내가 사는 게 중요하다”고 털어놨다.

투잡도 좋지만, 결론은 직장인

투잡을 꿈꾸지만, 만만치 않은 창업 현실에 결국은 회사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게 상당수 김과장 이대리의 선택이다. 식품회사에 다니는 윤 대리(34)는 회사 내부에서 ‘꿈 많은 청년’으로 불린다.

올해로 입사 7년차인 그가 지금까지 직장 동료들에게 “다른 일을 해보겠다”고 호언장담한 것만 열 번이 넘는다. 그가 이 같은 뜻을 처음 밝힌 것은 4년 전이다.

윤 대리는 “회사는 우리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며 “부동산 관련 사업을 하기 위해 공인중개사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그에게 직장 동료들도 처음에는 조용히 물밑에서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하지만 그는 자격증 공부를 시작한 지 반 년 만에 ‘부동산 중개업계의 거물이 되겠다’는 꿈을 포기했다. “회사 일이 워낙 바빠서 공부에 집중할 수가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그 다음에 찾아온 꿈은 카페 창업이었다. 대학가에 분위기 좋은 작은 카페를 차리면 쏠쏠한 수입을 거둘 수 있을 것 같았다. 주말마다 바리스타(커피 제조사) 과정을 다니며 준비를 시작했지만 이 역시 3개월을 넘기지 못했다.

최근에는 핀테크(금융+기술)에 꽂혀 관련 업종을 분석하고 있다. 처음엔 응원했던 동료들도 이제는 그를 그저 꿈 많은 청년 정도로 여긴다. 그의 한 직장 동료는 “그동안 퇴직 준비라며 여러 가지 일을 했지만 윤 대리가 제일 잘하는 일은 자신이 맡은 회사 마케팅 업무”라며 “지금 직장이 그에게 천직인 것 같다”고 말했다.

홍선표 기자 rick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