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라인 10] 산유국 정책공조`흔들`…원유 치킨게임 언제까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시라인 10]집중조명출연 : 이권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시아중동팀장Q.사우디의 입장 변화, 어떻게 보나?- 사우디, 감산 준비 미흡함 시사- 생산전략 상, 시장 점유율 경쟁 지속 판단- 유가 감산 시-> 유가 상승 미지수-> 사우디의 시장 점유율 하락될 가능성↑- 사우디, 감산 보다 시장점유율 경쟁 우위- 주요 산유국 재정부담 `가중`, 가격인상 필요성↑Q.산유국 신용 강등 지속에도 불구, 올해 내 감산합의 가능성 요원?- 이란, 산유량 감산은 물론 동결 가능성도 낮아- 수니파 산유국과 시아파 산유국(이란, 이라크), 오펙과 비오펙 국가, 전통적 오일 생산국과 비전통적 오일 생산국-> 경제적 이해관계 달라- 올해 안에 감산 결정 쉽지 않을 것, 저유가 장기화, 국제유가의 수요와 공급 분석- 공급요인-> 셰일오일 생산 증가, 오펙 국가들의 생산증가- 수요요인-> 세계경기 침체, 유럽 및 日 경제 회복세 둔화, 中 성장둔화- `14년 초부터 약 150만~200만 배럴 과잉공급-> 유가 하락할 수 밖에 없는 구조Q.올해 美 셰일오일 생산량 전망은?- 유가하락에 따른 셰일오일의 시추설비수 급감-> 셰일오일 생산량 감소 요인- 美 셰일오일 시추설비 감소-> 생산 기술은 향상- 전년대비 감소 전망Q.국제유가 공급과잉 해소는 언제쯤 가능할까?- 공급과잉 해소 요인-> 공급측면, 셰일오일 생산량 감소-> 수요측면, 美, 中 등 신흥국과 선진국 경제 회복세- 국제유가, 공급과잉 해소 내년 중반에나 가능Q.국제유가 관련 상반기 주목할 변수는?- 수급에 대한 직접적인 요인- 글로벌 금융 리스크, 국제유가에 부담 요인- 지정학적 불안 요인- 경기침체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심리-> 유가 관련 상반기 변수Q.상반기 국제유가 수준 전망은?- 유가의 변동성 심해 전망 어려움- 올해 상반기, 현재 수준(배럴당 30~35달러) 유지될 것- 하반기에 점차 상승, 배럴당 40~50달러 전망Q.에너지 수급 대책 어떻게 세워야 하나?- 석유 및 가스의 소비 비중 감소 필요- 태양광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강화 필요- 美 중심 셰일오일 및 셰일가스 생산 증가-> 이에 대비하여 셰일자원 개발 기술 확보 필요[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증시라인 10, 평일 오전 10시 LIVE한국경제TV 핫뉴스ㆍ성현아 `성매매 사건` 파기환송 `반전이야`...소름 돋네ㆍ딴따라 박보검 `귀여움의 극치`..."위화감 제로 배우"ㆍ추적60분 윤기원 `분노와 경악`...죽음의 실체 논란ㆍ수요미식회 "f(x)루나 순대 가게 어디지?"...맛집 `추천이요`ㆍ프로듀스101 전소미 "이런 미모 처음이야"..개성미 `대박`ⓒ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